메뉴

올 1~8월 중국 지역별 보험료 수입 순위...광둥성 1위

 

중국 인구는 14억명으로 세계 최대다. 보험은 사람이 드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 중국은 세계 최대 보험시장이다.

이런 중국이 그동안 철저히 보험시장을 보호해왔다. 외국 기업의 중국 진출을 불허했다.

최근 외국 기업들의 진출이 허락됐지만 영업은 쉽지 않은 모양이다. 중국 당국의 보이지 않는 장벽이 높은 탓이다.

최근 중국 매체 분석에 따르면 2021년 1~8월 중국 31개 성(省)급 지역의 원보험료 수입은 총 3조3024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67% 줄어든 것이다. 생명보험료 비중이 54.82%로 가장 높았다.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곳은 광둥성이었다. 광둥성은 1-8월 원보험료 수입이 4003억 위안을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2위는 장쑤성 3058억 위안, 3위는 산둥성 2414억 위안, 4위는 저장성 2077억 위안, 5위는 허난성 1765억 위안이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여 증가폭이 가장 큰 곳은 베이징이었다.

전국 1인당 평균 보험료를 살펴보면 베이징의 1인당 평균 보험료가 8000위안을 넘었다. 1인당 보험료가 가장 낮은 곳은 티베트로 1000위안을 밑돈다.

중국 각 지역의 보험료 수익을 보면서 안타까운 것은 삼성생명 등 국내 보험사들이 중국에 진출하고도 제대로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적지 않은 회사가 중국 사업을 접고 철수할 계획까지 세우고 있다. 

현대해상의 경우 현대차의 진출과 함께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됐지만 정작 현대차마저 중국 내 사업을 축소하고 있다.

국내 보험업계의 중국 진출과정에서 얻은 교훈은 중국 진출은 시장이 클수록 진중하고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 국내 많은 대기업들이 당장의 수익만 보고 중국 시장에 들어갔다가 최종 낭패를 보고 있다. 몇몇 기업은 중국에서 대형 사옥을 지었는데, 그 사옥만 실제 수익을 냈다는 평마저 듣고 있다. 

다음은 중국의 지역별 보험수익 순위다.

 

1위: 광둥

2위: 장쑤

3위: 산둥

4위: 저장

5위: 허난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