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마카오 도박왕 스탠리호, 사후 1년만에 매장

 

지난해 5월 , 14조원의 재산과 17명의 자녀들을 남기고 98세의 나이에 사망했던 마카오 도박왕 스탠리 호의 장사가 , 사망 1년 5일 만인 지난3 0일 오전 홍콩의 호화묘지인 동화이주앙 ( 东华义庄) 에서 진행됐다고 홍콩 매체들이 보도했다.

 

홍콩의 펑황망과 많은 연예계 잡지들에 따르면, 스탠리 호가 지난해 5월 26일 사망했지만 1년 5일 후인 오늘 장사가 치뤄진 이유는, 유가족들이 사망 뒤 1년이 넘는 길일을 택해야 모든 것이 좋다는 풍수에 따랐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섬 남동쪽 산자락에 자리잡은 동화이주앙 묘지단지에는 , 이 날 오전 일찍부터 가십을 다루는 잡지매체들이 대거 몰려들면서 큰 혼란을 빚기도 했다.

 

 

이 매체들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스탠리 호의 망자시신을 담은 관은 동남아에서 옛부터 휘귀한 고급목재로 알려진 금색 녹나무 ( 金丝楠木 ) 로 만들어져 관의 제작비용만 800만 홍콩달러 ( 한화환산 약 13억 원) 상당이 소요된 것으로 알려졌고, 망자의 녹나무관은 그 무게때문에, 8명의 상여인부가 운구하는 장면들이 주목을 받았다.

 

잡지매체들은 또 이 날 운구행렬과 묘지주변을 장식한 화훼( 꽃) 의 비용도 200만 홍콩달러 ( 한화 환산 약 3억 원) 에 달했다고 전했다.

 

 

한편 스탠리 호는, 생전의 4명의 부인과 결혼해 모두 17명의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졌는데, 가십을 주로 다루는 홍콩매체들은 , 장례식 이후 본격화될 유족들 간의 재산분배소송등에 각가지 소식들를 쏟아내고 있다.

본지 20년 6월 3일자 기사 " 마카오도박왕 스탠리 호 사망, 홍콩서방식민시대 마감의 상징성 " 참조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