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알리바바 반독점위반 벌금 3조원은 작년이윤의 13%에 불과, 좋게 타이른 수준

 

알리바바의 마윈의 시장독점위반행위에 대해, 당국이 여전히 관대하다고 보는 중국 웨이보와 매체들이 적지 않다.

 

어제 중국시장감독관리총국 (市场监管总局) , 지난해 중국시장의 독점을 금지한 범률위반혐으로 조사를 받아온 알리바바그룹에 대해 약 182억 위안 ( 한화 환산 약 3조원 )의 행정벌금을 내린 것에 대해 , 국내 많은 매체들이 중국사상 최고의 액수이다, 혹은 2015년 미국의 휴대폰운영시스템을 독점하는 퀄컴에 대해 내린 1조원 벌금보다 많다고 보도하며, 마윈이 단단히 미운 털이 박힌 댓가를 치룬다고들 보도하고 있다.

 

한국 시장 경제규모에서 보면 3조원의 벌금이 어마어마할 수 있지만, 이 벌금액수는 알리바바 인터넷쇼핑그룹이 지난해 거둔 순이익의 13%에 불과하다.

 

 

중국매체들이 전하는 알리바바그룹의 2020년 총 매출액은 5097 억 위안 ( 약 87조 원) 이고, 순이익은 매출의 27.5%인 1,403 억 위안으로 한화 환산 약 23조 9천억 원이다.

 

알리바바의 이익율이 무려 약 28% 로 업계 최고수준인 이유는, 바로 그동안 반독점법을 위한해 독점을 일삼았기 때문이라는 중국매체의 지적이 적지 않다.

 

이번 중국시장감독관리총국이 지적한 알리바바의 위법적인 독점행위를 간단히 말하면, 입주전자상거래 기업이나 개인들에게, 경쟁플랫폼인 징동닷컴이나 핀둬둬닷컴들의 입점을 방해했거나, 경쟁플랫폼보다 더 싼 값에 상품을 올리라고 강제했기 때문이다.

 

이 요구를 듣지 않은 기업이나 개인들에게는 알리바바 플랫폼으로의 입점을 금지하거나, 노출에 불이익을 줘 왔다는 말이다.

 

알리바바그룹은 초대형 인터넷쇼핑 플랫폼을 3개를 보유한다.

 

바로 주로 도매구입을 위주로 하는 알리바바쇼핑몰과 기업중심의 티몰닷컴 그리고 개인과 기업이 경쟁하는 타오빠오왕 3개를 운용하며, 업계의 절대강자로 군림하고 있기 때문에, 알리바바그룹측이 우월적인 지위에서 갖는 부당한 요구를 거절할 수 어려운 구조로 돼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법적인 우월적지위를 이용한 독점성을 가져왔기 때문에 2020년 매출대비 순이익율이 28%에 이를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알리바바그룹은 그동안 매년 50%의 매출신장을 기록해왔는데, 지난해 2020년에는 신장률이 35%로 떨어지면서 , 업계강자로서의 부당한 독점요구를 강화하면서 그나마 35%의 신장률을 기록했고, 28%에 달하는 순이익률을 기록할 수 있었다는 것이 중국매체들이 분석이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위와 같은 알리바바 그룹의 반 시장적 행태을 종합해 본다면, 이번에 시장감독당국이 지난해 순이익의 13% 수준에 불과한 3조원의 벌금을 부과한 것은, 당국이 여전히 마윈에 대해 매우 관대하게 처벌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