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인민해방군 2021년 로켓군 신년영상 미국을 겨누다, " 천근 미사일로 중국수호"

 

 

"아무리 멀고 아무리 험해도 목적을 이룰 수 있다면 기꺼이 찾아나선다.

 

심산대륙을 지키는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그 순간을 위해서라면 ... ! " 

 

2021년을 맞은 1월 8일 중국의 주요매체들은, 일제히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 火箭军)이 신년을 맞아 새롭게 제작한 2분 22초짜리 로켓군의 이미지영상을 주요뉴스로 게재했다.

 

위 영상은 위에 소개한 문귀와 함께, 대륙간탄도탄등의 각종 미사일을 운용하는 로켓군의 기동성과 위력을 특히 강조하는 컨셉으로 만들어 졌다.

 

적의 기습과 도발에 위치가 정해진 육 해 공군의 전력은 쉽게 파괴될 수 있다.

 

하지만 중 장거리 (핵) 미사일을 탑재한 발사차량들은 , 게다가 탑재한 미사일의 형태가 인공위성등으로 탐지될 수 없는 방호장비를 갖추면, 어디로든 이동해 치명적인 반격이 가능하다.

 

이번에 공개한 로켓군의 동영상에 등장하는 미사일은 주로 발사차량에 실려 드넓은 중국대륙의 어디든 비밀리에 배치돼, 적의 감시망에 탐지되지 않은 가운데, 조국의 산하를 공격하고 위협하는 적을 향해 비상하는 장면들을 화면에 담았다.

 

동영상속의 중국 로켓군 미사일 발사차량들은, 지하에 심산유곡에 초원지대에 사막지대등 어디로든 자유자재로 이동해 명령받은 타켓을 한치도 어김없이 타격할 수 있는 로켓군의 젊은 군인들이 땀과 집념을 담고 있다.

 

마치 영화 예고편같는 영상과 편집으로 제작된 동영상을 게재한 중국매체의 사이트를 함께 제공한다. 

 

 

 

 

 

 

 

 

 

 

 

 

 

 

 


지난해 중국견제와 압박을 고리로 재선전략을 세운 미국 트럼프가 급격히 중국 타이완과의 군사적 협력을 드러내 놓고 강화한 국면을 맞아, 중국 로켓군은 자주 뉴스에 등장했다.

 

그리고 미국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압박이 언제 군사적 도발과 시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고조돼 이 시기 중국의 국내뉴스에 , 국토수호를 위한 미국과의 전쟁을 염두에 둔 인민해방군의 각종 훈련소식이 빈번하게 등장하기도 했다.

 

 

지난해 10월 전후, 중국 인민해방군은 타이완 해협에 자국 항모모함을 순항하게 하고, 타이완 섬에 가까운 중국 남부 푸젠성과 광동성 해안에 로켓군의 최신형 미사일인 동펑17 (东风17) 로켓군을 배치했다고 알려졌다.

 

당시에 배치된 로켓군의 동펑 17 ( DF-17 ) 미사일은 음속의 10배 ( 마하 10 )의 중거리 미사일로 핵탄두도 탑재할 수 있는 미사일로 알려졌다. 

 

 

중국은 2015년 12월 기존의 육 해 공군 이외에 중장거리 미사일( 대륙간 탄도탄)운용을 전담해 오던 제2포병 ( 第二炮兵)을 로켓군 ( 火箭军)으로 승격해 재편하고 후방지원을 총괄하는 전략지원부대  ( 战略支援部队) 를 각각 신설해 독립적인 운용체계를 정비했다.

 

중국의 로켓군 신설은, 러시아가 SS시리즈의 장거리미사일의 전담하는 ' 전략미사일군' 을 신설한 군제 개편에 자극받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세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전쟁을 감당할 국가는 종래 미국과 러시아 두 나라에서 중국이 추가돼 신 3국시대를 맞고 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