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우주정거장(ISS)은 미국, 러시아, EU, 일본 등의 주도로 1998년 시작된 초대형 우주 프로젝트다. 2010년에 길이 72.8m, 폭 108.5m, 무게 470t의 거대한 우주 구조물이 지구 저궤도에 만들어진 후 수많은 실험과 연구가 진행돼왔다. 중국은 초창기부터 ISS 프로젝트에 참여의사를 밝혔지만 미국의 반대에 막혀 독자적인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건설에 착수한 바 있다.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향후 우주정거장 사업의 주도권 경쟁에 새로운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는 22일(현지시간) “현재 러시아와 중국의 전략적 관계를 고려해 우리는 중국 파트너들과 유인우주선 운용 분야 협력을 반드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는 "우주인이 지구 저궤도에 머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러시아 자체적으로 또는 중국과의 공조를 통해 저궤도 활동을 계속하는 문제를 정밀히 검토 중“이라며 러-중 우주 협력 강화 분야를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이번 발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미국 등 서방과의 관계가 극도로 악화한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향후 ISS 사업에서 탈퇴해 중국과 별도의 우주정거장을…
'별에 갔던 엄마가 돌아왔다.' 중국 언론은 우주 유영 임무를 완수한 첫 여성 우주인의 귀환을 이렇게 표현했다. 중국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13호가 사상 최장 우주 체류기록을 세우고 16일 귀환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우주인 3명을 태운 선저우 13호가 이날 오전 9시 56분 귀환 지점인 네이멍구 둥펑착륙장에 무사히 착륙했다고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선저우 13호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인 톈궁(天宮) 건설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16일 간쑤(甘肅)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2F 야오(遼)-13호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자이즈강(翟志剛), 왕야핑(王亞平), 예광푸(葉光富) 등 세 명의 우주비행사가 탑승한 선저우 13호는 우주정거장의 핵심 모듈인 톈허와 도킹에 성공한 후 중국 우주개발 역사상 최장 기록인 183일간 머물면서 각종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중국의 두 번째 여성 우주비행사인 왕야핑은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우주선 밖 우주 유영 임무를 완수했다. 중국이 구축 중인 우주정거장 텐궁은 길이 37m, 무게 90t으로 현재 미국, 러시아 등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3분의 1
"세계 1위" 중국의 ‘우주 굴기’를 말해주는 수치가 공개됐다. 펑파이는 6일 과학기술 사이트 아르스 테크니카(ars technica)를 인용해 2021년 세계 각국의 로켓 발사 144회(이란 미발표 2회 제외) 가운데 중국이 55회로 1위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무려 6.6일당 1회씩 우주로 로켓을 발사한 셈이다. 한번의 발사 비용이 수십억 원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국 정부가 우주 굴기에 어느 정도 신경을 쓰는지 잘 알 수 있다. 관건은 이 같은 미사일 기술 확보를 할 때 비용이 내려가고 다시 더 많은 기술을 확보하는 기술의 선순환이 이뤄진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우주 강국 미국과 러시아는 각각 45회, 25회로 기록했다. 이어 유럽연합과 뉴질랜드가 각각 6회, 일본 3회, 인도 2회의 순이었다. 펑파이는 중국의 55회 로켓 발사 중 52회가 성공했으며, 특히 중국 최대 항공우주 기업인 중국항천과학기술그룹(CASC)은 총 48회의 발사를 모두 성공시켰다고 전했다. CASC는 올해 유인우주선 발사 6회를 비롯해 지난해에 버금가는 우주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중국은 지난해 우주 정거장 건설에 착수하고 무인 탐사선 창어(嫦娥) 5호의 달 토양 샘플 채취,
중국이 독자 개발한 스텔스 전투기 '젠-20 위룡(威龍ㆍ Mighty Dragon)'을 업그레이드해 세계 최초 복좌형(2인승) 스텔스 전투기로 개발중이라고 알려졌다. 본래 비행기는 장시간 지루한 비행조정을 해야 한다. 이에 2인승을 만들어 번갈아 가며 비행 조정을 하고 서로 소통을 해 조정사들의 심리적 안정을 꾀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기술 발달로 기계 비행에 의존해 버티는 경우가 많지만 복좌식의 전투기의 장점은 여전히 많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30일 군사 소식통과 중국 소셜미디어에 공개된 영상 자료 등을 인용해 중국이 인민해방군 공군 창설 72주년(11월 11일)에 복좌형 스텔스기 시험 비행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한 군사소식통은 인민해방군 공군 창설 72주년 행사의 일환으로 J-20 복좌형 스텔스 전투기의 첫 시험비행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중국의 소셜 미디어(SNS) 플랫폼에는 젠(殲·J)-20의 조종석이 앞뒤로 구분된 복좌형 버전이 쓰촨(四川)성 청두항공공사(CAC) 비행장에서 지상 주행을 하는 영상이 유포되고 있다. J-20은 길이 20m, 날개 너비 13m,…
중국의 우주굴기가 다시 한번 성큼 큰 걸음을 내딛었다. 중국 유인유주선 선저우(神舟) 13호가 16일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모듈과의 도킹에 성공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중국유인우주국(CMSA) 발표에 따르면 선저우 13호는 간쑤(甘肅)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2F 야오(遼)-13호' 로켓에 실려 발사된 지 약 6시간 만인 16일 오전 6시56분(현지시간) 톈궁의 1차 모듈 톈허(天和)와 도킹하는데 성공했다. 톈궁은 현재 중국이 독자적으로 건설 중인 우주정거장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선저우 13호에 탑승한 자이즈강(翟志剛), 왕야핑(王亞平), 예광푸(葉光富) 등 3명은 앞으로 6개월 동안 톈궁 건설에 필요한 각종 장치 설치, 핵심 기술 테스트, 과학 실험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선저우 13호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서 머무는 6개월은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우주 체류기간이다. 특히 왕야핑은 우주선 밖에서 유영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첫 번째 중국인 여성 우주비행사로 기록될 전망이다. 중국은 앞으로 텐허에 추가로 모듈을 연결해 내년 말까지 우주정거장 텐궁 건설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톈궁은 현재 미국, 러시아 등이 공동 운영하는 국제우주정
중국 우주비행사 3명이 탑승한 선저우(神舟) 12호가 90일 만에 지구로 귀환했다. 중국중앙방송(CCTV)은 선저우 12호 귀환 캡슐이 17일 오후 1시 34분 중국 네이멍구(內蒙古) 둥펑(東風) 착륙장에 무사히 착륙했다고 보도했다. 선저우 12호는 중국이 미국에 맞서 추진하는 ‘우주 굴기’의 일환으로 중국 공산당 100주년을 앞두고 지난 6월 17일 우주로 발사됐다. 군 조종사 출신의 우주비행사 3명은 90일 동안 중국이 건설 중인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1차 모듈인 텐허(天和)에 머물며 설비 교체 및 수리, 과학 실험 등의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90일은 중국 우주비행사들이 지구 궤도에서 머문 최장 기록이다. 중국은 앞으로 선저우 13호 유인 우주선, 텐저우 3호 화물 우주선 등을 쏘아 올릴 예정이다. 텐허에 추가로 모듈을 연결해 내년 말까지 우주정거장 텐궁 건설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톈궁은 현재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등이 공동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3분의 1 크기인 길이 37m, 무게 90t 규모로 완성될 예정이다. 중국은 1992년 첫 유인 우주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우주 굴기’에 나섰다. 지난해 12월에는 창어(嫦娥)…
중국은 세계 1위 드론(무인기) 생산국이다. 세계 상용 드론 시장 점유율의 3분2가량을 차지하는 DJI(大疆創新)가 대표적이다. 중국의 드론 기술 역량이 군사 분야로 확대되면서 주변국과의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중국의 군사 드론 사용 확대로 일본, 대만 등 주변국과의 군사적 긴장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는 중국이 8월말 대잠수함 초계기 Y-8Q, 전자 정보 정찰기 Y9JB 등과 함께 무인기 3대를 일본 영해 인근에 발진시켜 일본 공군 전투기가 대응 출격했다고 밝혔다. 일본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를 둘러싸고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어 향후 자국 영해에 대한 감시 역량을 높이기 위해 무인기를 추가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SCMP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과의 영유권 분쟁 지역뿐만 아니라 남중국해와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영해에서도 드론 사용을 확대 중이다. 중국의 군사 드론에 대해 주변국들이 적극적으로 맞대응하면서 긴장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만은 올해 공격용 신형 드론 '텅윈'(騰雲·MU1811)을 자체 개발해 선보였다. 현재 대만 동부 화롄
중국이 우주개발을 위해 유인 우주선 프로젝트로 발사해 온 선저우 ( 神舟) 유인 우주선의 뜻은, ' 신이 만든 배 혹은 신을 만나러 가는 배 ' 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오늘 오전 중국 대륙은, 선저우 12호가 자국이 독자적으로 만들어 올린 우주정거장 티엔꽁 ( 天宫/ 천궁)2호 의 핵심 모듈인 티엔허 ( 天和/ 하늘과 화합함이란 뜻)에, 자국의 우주비행사 3명이 무사히 도킹해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모습이 생중계되면서, 그야말로 환호에 휩싸였다. 그리고 지난 1992년에 출범한 이후, 중국의 유인우주프로젝트를 담당해 온 중국유인우주공정실( 中国载人航天工程办公室 / CMSEO : China Manned Space Engineering Office ) 의 관계자들은 , 남다른 의미가 담긴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왜냐하면 그동안 중국은, 지난 2010년에 미국과 러시아의 주도로 완공돼, 유일하게 우주에 떠있는 국제 우주정거장 ( ISS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프로젝트에 공동 참여조차 할 수 없게 배척당해 왔다는 소식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에 독자적으로 개발해 완성한 자국의 우주정거장 티엔꽁 ( 天宫
중국의 화성탐사선 톈원 1호의 착륙선에 실려, 오늘 15일 오전 7시 18분(중국시간) 경에 예정대로 , 화성의 유토피아평원에 안착한 중국 최초의 화성탐사로봇인 쮸롱 ( 祝融) 이 , 자신의 무사안착을 기원했던 14억 중국의 친구들에게 웨이보형식의 감사 SNS 편지를 보냈다고, 중국 신화사가 보도했다. 이는 그러나 화성탐사로봇이 직접 SNS를 보낸 것은 아니고, 신화사가 인터넷 SNS시대에 맞게, 중국 최초의 화성탐사로봇의 입장에서, 목표지점에 안착할 때까지의 긴박했던 과정을, 마치 친구들에게 SNS를 보내는 형식으로, 기사화 한 것이다. 이하에, 신화사가 쮸롱발 SNS형식으로 풀어쓴 내용을 우리 구어체로 풀어 게재한다. 지구 친구들 안녕? 나는 화성자동차인 쮸롱하오 야. 난 오늘 화성 착륙선을 타고 화성표면에 잘 도착했어 . 내가 도착한 곳은 화성의 북반구에 위치한 유토피아 평원 ( 乌托邦 平原 ) 이란 곳인데, 다 들 오래 기다렸을 거야 . 난 오늘 새벽 1시 경, 나를 태우고 지구를 떠나 화성까지 날아와 대기 궤도를 돌고 있던 티엔원 1호 속에서, 마침내 화성궤도에 들어가는데 3시간이 걸렸단다. 그리고 오늘 새벽 4시경에는, 나를 태우고 화성표면에 도착
올해 창군 72주년을 맞은 중국인민해방군 해군이, 수륙탱크와 헬기 그리고 상류정등 상륙작전에 필요한 대규모 장비와 병력을 싣고, 작전지역에 대한 기습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첫 상륙작전전용 함정을 공식 취역시키면서, 타이완은 물론 일본과의 중국 남해의 긴장감이 높아질 수 있다고 신화사등 중국매체들이 주요기사로 보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