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9월 중국 오토바이 판매량 순위 Top 5

 

중국의 도시에서는 한때 매일 출퇴근 시간마다 수많은 오토바이 행렬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매년 춘제(春節, 설)나 노동절 연휴에 펼쳐지는 중국 남방지역 농민공들의 오토바이 귀성 행렬은 '오토바이 대군(大軍)'으로 불리었다.

사실 이 같은 장면을 보기 싫어한 중국 지도부는 도로에서 오토바이 운행을 제한하기도 했다. 그로 인해 한동안 중국 도로에서 '오토바이 대군'을 보기 힘들었다.

최근 중국의 오토바이는 농민공, 서민 노동자들의 운송 수단만이 아닌 것이 되고 있다. 할리데이비슨처럼 자동차보다 비싼 고급형 오토바이들이 속도감을 즐기는 애호가들을 만족시키고 있다.

자연히 중국에서 오토바이 시장 역시 새롭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 올 9월까지 가장 인기를 끈 오토바이 순위가 발표됐다.

중국에서 오토바이는 전기 오토바이와 내연기관(연료) 오토바이로 분류되는데, 1-9월 내연기관 오토바이의 판매량이 전체 판매량의 63.15%를 차지했다. 판매량 상위 5개 업체는 다음과 같다.

1위 광둥성 장먼(江门) 따창장그룹(大长江集团有限公司)

2위 충칭 룽신오토바이(隆鑫机车有限公司)

3위 충칭 중션산업그룹(宗申产业集团有限公司)

4위 장쑤성 쑤저우 신대륙혼다(新大洲本田摩托有限公司)

5위 광둥성 광저우 우양혼다(五羊-本田摩托有限公司)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9월 중국 82개 기업의 내연기관 오토바이 판매량은 총 1061만7300대이며 작년 동기 대비 13.25% 감소했다. 24개 기업이 10만 대 이상 판매했고 53개 기업은 판매량이 작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내연기관 오토바이의 판매 상위 15개 기업의 누적 판매량은 전체 판매량의 71.39%를 차지했다. 1위 따창장그룹의 판매량은 약 150만 대로 2위 룽신오토바이의 1.66배였다.

판매 상위 15개 기업 중 10개 기업의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모두 하락했다. 아무래도 이동이 제한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