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신규 원전 2기 착공, 2035년까지 원전 설비용량 3.6배 확대

 

중국이 원전 건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 19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중국이 자체 개발한 CPA1000 원자로를 사용하는 산둥성 옌타이시 하이양 원전 3, 4호기가 지난 14일 착공됐다. 2027년 가동 목표로 원전 1기당 설비용량은 125만㎾다. 현재 가동 중인 1, 2호기까지 합치면 하이양 원전의 총 설비용량은 500만㎾로 늘게 된다.

중국은 앞서 지난달에는 랴오닝성 훙옌허 원전 5, 6호기의 가동을 시작했다.

다롄시 해안에 건설된 훙옌허 원전은 중국 최대 규모로 2016년 발전을 시작한 1∼4호기까지 합친 총 설비용량이 671만㎾에 달한다. 중국 최대 수력 발전소인 산샤댐의 29% 수준이다. 연간 480억kWh 전력을 생산해 석탄 1352만t, 이산화탄소 배출량 2993만t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중국은 현재 52기의 원전이 가동 중이고, 19기를 건설 중이다. 현재 5581만㎾인 원전 설비용량을 2025년 7000만㎾, 2035년 2억㎾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이를 통해 2030년 탄소 배출 정점을 찍은 뒤 2060년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올해 1∼5월 중국 원전의 전력 생산량은 1663억kWh로 전체 전력 생산량의 5.1%를 차지한다.

중국원자력업종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원전 기술 자주화율은 90% 이상이며 향후 매년 6∼8기의 신규 원전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