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합(合), 합일(合一)의 깨우침

 

하나 되는 둘이다. 연인의 키스요,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어미의 입이다.

한자 합(合)의 이야기다.

쉽지만 어려운 이야기다. 하나와 하나가 더해져 다시 하나가 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자연 속에 인간만이 쉽게 한다.

한자 합은 그런 합일(合一)의 깨우침을 담고 있다.

 

합은 아주 오래된 한자다.

한자 초기에 갑골문이 있다. 글자의 모양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위의 크게 벌린 입이 아래 입을 감싸는 모양이다. 간단히 입과 입이 만나는 모습이다. 키스다. 키스는 인간사 남녀 간의 일이다.

남녀가 하나 되는 첫 순간이다.

 

셰익스피어는 키스를 '수줍어 붉어진 두 순례자의 입술'이라고 찬미했다.

'유쾌한 숨바꼭질'이라 표현한 작가도 있다.

클림트의 키스는 금빛 황홀경이고,

뭉크의 키스는 뭔가 불안하기만 하다.

샤갈의 키스는 꿈 속 키스이고,

피카소의 키스는 핑크빛 초현실주의다.

 

어떤 키스는 너무나 현실적이며 어떤 키스는 너무나 단순하기만 하다.

키스는 인간의 첫 생산의 시작이다.

키스로 하나 되고 그 하나는 다시 셋이 된다.

 

합이란 한자는 이 기묘한 인간만의 방정식 부호다.

일에 일을 더해 하나가 됐다가 다시 삼이 되는 인간사 덧셈, 시너지다.

 

가장 에로틱하며,

가장 숭고한

인간의 욕망이다.

 

그게 바로 우리가 만든 자본주의의 본질인지 모른다.

또 그 욕망에 빠져

욕망의 본질적 대상을 잊은 채

종이에 인쇄된 숫자만 쫓는

욕망 그 자체로만 남은

자본주의의 속성인지 모른다.

 

마치 한자의 합이

본래의 에로틱한

인간 본연의 뜻을 잊었듯

 

진정한 자본주의 경영의 속성은

그 욕망의 본질,

인간이 인간이어서 추구하는 그 욕망을

되찾으면서 발견되고 발현될 수 있을 지 모른다.

 

마치 우리가

한자 합의 본연의 뜻을 되찾을 때

가슴 깊은 곳에서 옛 보물을 찾아낸 듯

놀라고

신기해하며

감동하듯 말이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