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25차 한중경제협력회의 개최, 문화콘텐츠 교류 활성화 등 논의

 

 

외교부가 제25차 한중경제협력회의를 2일 개최했다.

외교부는 이번 회의에서 중국 내 한국 게임 서비스 허가와 영화 상영 등 문화콘텐츠 교류 활성화를 위한 중국 정부의 협조를 당부했다고 밝혔다.

이미연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장과 양웨이췬 중국 상무부 아주사장은 이날 화상으로 개최한 제25차 한중 경제협력 종합점검회의에서 한중 문화교류의 해 성공적 추진, 양국 간 항공편 증편, 한국 기업의 애로 해소, 농식품 분야 상호 협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중국 측은 교역 확대와 산업협력의 새로운 방향 모색, 지방 간 경제협력 강화, 한국 내 중국 기업 애로 등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양측은 한중 기업인 신속통로 운영 등 인적 교류와 '한중 경제협력 공동계획' 보고서 작성 등에 대해 논의하고 역내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과 아세안(ASEAN)+3 등 지역·다자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서도 계속 소통하기로 했다.

또 하반기 중 제25차 한중 경제공동위원회(차관급)를 개최하는 방안도 협의하기로 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