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징어게임 인기 급상승에 中네티즌 "대학살이 보기 좋지는 않아"

 

황동혁 감독이 제작한 넷플릭스 전용 콘텐츠 '오징어 게임'이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지난달 17일 첫 전파를 탄 이후 영상 속 '달고나 만들기' 챌린지가 이어지고,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이 각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 정도다. 넷플릭스 서비스가 이뤄지는 전 세계에서 시청 1위를 차지했다. 

'오징어 게임'은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다.

게임을 통해 물질만능주의의 사회와 그 속에서 상실되는 인간성에 대한 깊은 성찰이 흥미 진진한 게임 방식을 통해 스토리화한 게 성공요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미국과 영국 등 세계 주요 매체들은 '오징어게임 신드룸'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 영국 유력 일간지는 물론 미국의 방송들마저 인기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해외 매체들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의 인기 원인으로는 자유롭고 과감한 표현 방식이 꼽히고 있다. 스토리 전개와 황 감독의 영상 표현이 잘 어울렸다는 게 이들 분석가들의 공통점이다.

한국 언론들은 이 같은 인기 속에 돈계산이 한참이다.

한국 제작진이 만든 작품인데 돈은 넥플릭스만 벌었다는 게 주된 스토리다. 동시에 애초 넥플릭스가 투자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넥플릭스를 공격할 필요까지는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징어 게임'은 중국에서도 단연 인기다. 넷플릭스 서비스가 되지 않는 중국에서도 VPN(가상사설망)을 통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도 다양하다.

 

나는 라이어게임이 원조라고 생각해.

 

나는 몇 부분의 형식은 그릇만 바꾼 것과 같고 그릇에 담은 물건은 모두 똑같은 느낌이라고 말하고 싶어.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대학살이 보기 좋은 것 같지 않아.

 

이역봉의 애니멀월드 같아.

 

도박 묵시록이야말로 정통이고, 최초의 이런 영화는 아마도 역경무뢰 카이지야. 좀 질시도 많은 듯 싶다. 

 

옛날 사람들은 격투 경기를 즐겨 보았고, 현대인들은 사람들이 목숨을 걸고 게임에 참가하는 것을 좋아하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