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만, 델타변이 첫 발생에 중국 네티즌 "미국이 도울까?"

 

"대만에서 델타변이 감염자가 나왔다."

최근 소식이 전해지자 국제적 관심이 쏠렸다. 대만은 그동안 글로벌 사회 최대 방역 모범생으로 꼽혔던 곳이다. 그런 곳에서 가장 감염력이 크다는 델타변이가 나왔다는 소식이니, 관심이 쏠리는 게 자연스럽다. 

중요한 것은 중국의 반응이다. 중국 대륙과 대만은 최근 갈등이 갈수록 깊어지는 사이가 됐다.

대만은 최근 그 어느 때보다 대륙으로부터의 독립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근 중국은 홍콩 등에서 기존 '1국2제' 원칙을 무시하고, 대륙의 방침을 따르는 '1국1제' 방침을 보여주고 있다.

홍콩의 시위를 강제로 진압하고 수많은 민주인사를 탄압해 홍콩을 떠나도록 했다. 그런 홍콩의 상황을 지켜보니, 대만의 독립의지도 강해줄 수 밖에 없다.

중국 입장은 '1국2제'인데, 대만 입장에서는 지금처럼 중국 대륙 마음대로 할거면 '2국2제'가 낫다는 것이다. 특히 대만이 중국의 무력 도발을 걱정해 미국을 끌어들이는 데 중국은 더욱 그런 대만이 미울 수밖에 없다.

중국 역시 갈수록 도를 넘는 협박성 발언을 하고 있다. 툭하면 비행기를 보내 대만을 위협한다. 이미 일상이 되고 잇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대만을 적극 지지하고 나서고 있다. 중국이 보기에 대만은 미국에 철저히 이용 당하고 있다. 실제 그런 모양새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정말 속내가 무엇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정말 미국의 속내를 알기 위해서라도 중국이 좀 더 대범하게 대만을 껴안는 모습을 보여주면 어떨까 싶다. 

바로 최근과 같은 대만의 코로나 확산이 좋은 기회다 싶다. 다른 어떤 이유없이 순수하게 대만을 지원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런데도 미국이 대만을 중국에서 떼어 내려고 한다면 그건 미국의 나쁜 것이다. 

하지만 현 상황에서 중국 스스로가 대만을 밀치고 있다. 미국은 가만히 팔만 벌리고 대만이 달려들기만 기다리는 꼴이다. 

자 그럼 대만의 불행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속 좁은 것은 고치기 힘든 모양이다.

 

불쌍한 대만 사람들, 대만 독립 정부를 선택해서, 자신을 해치네.

 

대만 당국은 더 이상 미합중국 의회가 당신을 도왔다고 생각하지 마, 대륙의 백신을 지지하지 않는다면, 당신들은 중국 대만의 죄인이 될 거야!

 

조용히 전파된 지 얼마나 되었나.

 

더 이상 민진당이 대만 국민에게 해를 끼치게 해서는 안 돼.

 

코로나는 진실한 모습을 보여주는 요술 거울이야, 대만 동포가 각성해야 해!

 

빨리 대륙 백신을 접종해!

 

중국의 생각이 비교적 솔직히 드러난다 싶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