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인들도 집콕, 인터넷으로 영화보고 쇼핑하는 시간 증가세

2020년 1월 중국 모바일 APP 순위 - 카카오 같은 위챗과 QQ 최상위.

2020년 1월 중국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의 규모는 10.23 억 명으로, 전월 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갑작스러운 코로나19 확산이라는 국내 상황으로 인해 국민들의 외출 빈도가 급감하면서, 인터넷 이용자들의 오락 행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1위: 微信 (위챗)

2위 : QQ

  1위와 2위는 우리 카카오 톡같은 개인간의 문자, 음성 통신 app.

 

3위 : 手机淘宝 (타오바오)

4위 : 支付宝 (즈푸바오)

 3위와 4위는 우리 쿠팡이나 11번가 같은 인터넷 쇼핑몰 app.

 

5위 : 爱奇艺 (아이치이)

 5위는 영화 드라마 tv프로그램을 동영상으로 보는 유료 app. 최근엔 자체 제작 영화와 드라마의 공급을 늘려 중국의 넷플릭스로 불리며 네티즌 유료 회원들을 많이 확보하고 있다. 

 

6위 : 抖音短视频 (틱톡)

 6위는 네티즌들이 개인적으로 촬영하거나 제작한 15초 내외의 짧은 동영상을 보는 app. 

 

7위 : 腾讯视频 (텐센트 QQ)

8위 : 优酷视频 (youku 동영상)

 7위와 8위는 주로 tv 드라마 오락프로그램들의 영상을 재송신하는 전통적으로 오래된 영상app.

 

9위 : 快手 (동영상 앱)

 9위는 6위 TicToc 과 같은 짧은 동영상 전문 app.

 

10위 : 拼多多 (쇼핑 앱)

 10위는 3위와 4위와 같은 인터넷 쇼핑 app.

 

동영상 이용자가 크게 늘고 있는가 하면, 코로나19 확산기간 중 방학을 맞아 애니메이션 게임 이용자가 크게 늘었다. 인터넷 이용자 1인당 단일 이용 시간은 6.15시간으로 전월 대비 1.5% 증가하였다.

 

 


사회

더보기
'제5회 상하이 혁신 및 기업가 정신 청년 50 포럼' 18일 개최
중국 상하이는 도시의 활력과 젊음의 혁신 정신이 교차하는 무대로 중국 각지에서 젊은 인재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 '제5회 상하이 혁신 및 기업가 정신 청년 50 포럼(上海创新创业青年50人论坛)'이 오는 18일 상하이센터에서 개막된다. 이번 포럼은 청년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집중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청년 개발 도시 건설을 향한 상하이의 확고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상하이는 전 세계의 혁신적인 인재를 유치하고 도시의 지속적인 번영에 신선한 혈액을 불어넣기 위해 활기찬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청년 50 포럼의 대표자 중 한 명인 정지에 상하이자오퉁대 의과대학 루이진병원 연구원은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과의 인터뷰에서 "상하이는 중국은 물론 전 세계의 중요한 경제 및 기술 중심지로서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와 학자들을 한자리에 모으고 있다"고 밝혔다. 청년 50 포럼에 합류한 이후 정지에는 학술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자신의 연구 경험과 결과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면서 많은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50 포럼의 매우 중요한 점은 많은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고 학문 전반에 걸쳐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질 수 있다

문화

더보기
中취안저우,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객 유치 위한 투 트랙 전략 추진
중국 남동부 푸젠성에 위치한 취안저우(泉州)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도시다. 송나라, 원나라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무역 중심지였다. 푸젠성은 타이완을 마주 보고 있는 대륙 지역으로 중국에서 해양 산업이 가장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취안저우는 이 푸젠성에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해 푸젠성 3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2일 푸젠성 문화유산국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더욱 적극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을 위해 관련 법과 규정을 제정하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산업 증대를 위해 중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했다. 푸젠성 최초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하여 언론 매체와 SNS 플랫폼에서 관광 상품을 홍보하는 등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관광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과 함께 생활하고 교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유적지의 대부분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급증하는 관광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