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집 가(家), 최소의 경제 단위

 

집,

한국인 뿐 아니라,

중국인, 일본인 등

동양인 가산 가운데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게

바로 집이다.

 

흔히 부동자산,

부동산이라 한다.

 

대략 자산의 70% 이상이다.

70% 가량이면

삶이 안락하다.

80% 가량이면,

삶이 팍팍하고

90% 가량이면,

삶이 쪼들리고

100% 이상이면

삶이 버겁다.

 

자산에서 집값의 비중이

삶의 행복을 결정하는 셈이다.

 

그런데도

무리해서

집을 가지려는 이유는

집이 없으면

특히

자산 가치가 큰

집이 없으며

평생

자산을 제대로 모으기 힘들기 때문이다.

 

참으로

사람은 달팽이마냥

집의 부담을

그렇게 지고 살아야

하는 운명인지

모른다.

 

운명이라면

참 서글픈 운명이다.

 

한자는 이런 고민이

생각보다 오래됐음을 보여준다.

 

갑골자의 집 가(家)는

집 안에 돼지를 키우는 모습이다.

돼지는 가축,

가족 생산물의 대명사다.

 

집은 생계를 이어가는

경제 활동의 첫 단위,

최소 단위였던 것이다.

 

그런 집에 모여

그 것을 지켜가는 게

바로

가족이다.

 

가족에는

혈연관계이기 보다 경제적 공동체라는

개념이 먼저 있다는 게

새롭다.

물론 그 경제적 공동체의

첫 구성원은 피붙이다.

 

갑골자에서

돼지 시(豕)와 개 견(犬)의 차이는

꼬리의 길이만 다르다.

 

농협중앙회가 운영하는

농업박물관의

원시 농가 모습에는 집 안에 사람과 개가 있다.

돼지를 개가 대신하고 있는 셈이다.

 

사실 영어의 가족, Family도 비슷하다.

경제적 개념이 강하다.

본래 Family는 하인이나 노예를 뜻하는 famulus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과거 하인이나 노예는

동양의 개, 돼지처럼 생산품이었을 것이다.

 

이 famulus가 라틴어 familia,

중세영어 familie를 거쳐

지금의 Family가 됐다고 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