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벗우(友)와 벗붕(朋) (2)

 

 

 

 

“환난은 같이해도 태평성세는 같이 하기 어렵다”

어려움은 같이 해도, 공을 나누기는 어렵다는 의미다.

 

와신상담(臥薪嘗膽) 고사로 유명한

월왕(越王) 구천(勾踐)에 대한

구천의 책사 범려(范蠡)의 평이다.

 

범려는 BC 497년 오왕(吳王) 부차(夫差)와

부초산(夫椒山) 전투에서

대패한 구천을 도와 최후의 승리자로

만든 이다. 그런 그가 구천을 이렇게 박하게 평한 것이다.

 

본래 그렇다.

어려울 때 나를 봐준 친구라고

내가 성공해도

나를

봐주는 게 아니다.

 

나와 같이 성공을 일군 벗 우(友)라고

반드시 그 성공을 나눌 수 있는 게

아니다. 오히려

성공을 한 탓에 다툼이 생기고

친구와 멀어지게 된다.

 

사실 우리의 벗이라는 개념은

너무도 추상적이다.

감성적이고 좋기만 하다.

 

꿈보다 해몽이 좋다고

최근 이야기 되는 우리말 벗의 어원도 그렇다.

 

앞서 소개한 ‘벌거숭이를 함께 한’이라는 주장 외,

인도에서 왔다는 주장도 있다.

 

우리의 벗의 옛 발음 ‘벋’이 고대 인도어, 범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다.

범어의 벋은 ‘물’이라는 뜻이다.

물에서 옷을 벗고 노니 벌거숭이라는 의미와 닿는 면이 있다.

 

벋은 인도 현지에서 ‘빠니’라고 발음됐는데,

이 인도어가 유럽으로 건너가

몸을 의미하는 바디(Body),

친구를 의미하는 버디(Buddy) 등으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또 벋은 '뻗어나가다'의 뜻도 있어

사교의 의미가 담겨있다는 주장도 있다.

 

한자의 벗은

그 의미가 세분화 돼 있다.

친구의 친은

어려울 때 찾아주는 이다.

 

벗 우(友)는

같은 방향으로

손을 내밀어 주는 벗이다.

같은 일을 하는

동지요, 동업자다.

 

 

남은 게 벗 붕(朋)이다.

바로

태평성세, 부를 함께 나누는 벗이다.

 

벗 붕은 공자 덕에 유명해졌다.

‘有朋自遠訪來,不亦樂乎!’

‘유붕, 자원방래불역락호’

(친구가 멀리서 찾아오니, 어찌 기쁘지 않은가!)

 

여기서 벗이 붕이다.

한자 좀 쓴다는 이들끼리

벗을 부르는 이름이다.

방귀 좀 뀐다는 이들끼리

벗을 부르는 게 붕우(朋友)다.

 

한자 붕(朋)도

일찌감치 갑골자부터 나온다.

갑골자의 붕은

조개를 꿴 목걸이가

쌍으로 있는 것이다.

조개는 그 옛날의 돈이다.

그런 돈다발을 목에 건

두 인물이 나란히 있는 게

바로 벗 붕이다.

 

 

부자들끼리의 친구다.

태평성세를,

부를 함께 나누는 벗이 바로 붕이다.

 

사실 어려움을 같이 하는

친구를 찾기 힘들 듯

부를 함께 나누는 친구도

찾기 힘들다.

아니, 어려움을 같이 하는

친구보다 더 찾기 어려운 지도 모른다.

 

같은 부자라도

더 부자이고 싶어

시기하고 질투하기 마련이다.

 

환난을 같이

했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갑자기 한 친구가 성공을 하면

 

꼭 시기, 질투가 아니어도

괜히

조금씩 거리가 생긴다.

 

우리에게 벗은 다 같은 벗이지만

한자에서 벗은

어려움을 같이 하는 벗

함께 일을 도모하는 벗

부와 명예를 나누는 벗

으로 나뉘어 있다.

 

어떤 벗이 가장 좋은가?

다 갖춘 벗은 없냐고?

있다. 하지만

평생을 두고 찾기 힘들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