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 시진핑사상 한국주요인사에 설명회 개최

 

 

주한 중국대사관은, 지난 18일 싱하이밍 (邢海明·56) 중국대사가 ' 신시대 중국 국정운영의 평가와 미래 한중관계 재도약의 협력방안 포럼'을 열고, 대통령직속 정책기원위원회와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그리고 성균관대학 성균중국연구소등 중국관련 교수와 전문가들에 대해 심층설명회를 개최했다고 전했다.

 

이 날 포럼은 ' 신시대의 중국과 한중관계 ' 라는 제목으로 진행됐다.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이 날 싱하이밍 중국대사는 온 오프라인 세미나를 통해,  " 중국은 경제사회 발전에 있어 세계가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고 종합 국력과 국제적 지위가 전례 없이 높아졌다" 고 전제하고, " '중국의 기적'의 배경에는 중국 인민이 중국공산당의 지도 아래 개척한 서양과는 다른 현대화의 새로운 길이 있다" 고 강조했다.

 

싱하이밍 대사는 이어, " 중국의 지도이념은,  ' 개인의 나는 없으며, 인민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겠다(我將無我, 不負人民)'라는 시진핑 주석의 약속과 상통하고 있다.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길은 인민을 중심으로 한 민본의 길이며, 이는 중국 인민이 일어나고 부유해지고 강해지도록 이끄는 진흥의 길인 동시에, 인류 문명을 위해 지혜를 바치는 혁신적인 길이며 세계 발전을 위해 힘쓰는 상생의 길" 이라고 밝혔다.

 

싱하이밍 대사는 특히, "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은 역사와 현실 그리고 미래를 관통하며, 중국집권당인 공산의 치당(治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치국(治國) 그리고 인민해방군의 치군(治軍) 의 원리를 잘 나타내고 있다" 고 강조하면서, 한국의 정책입안자등 정치인들과 중국을 연구하는 교수등 중국전문가들이 연구해 볼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싱 대사는 또, 시진핑시대의 중국은 세계와의 외교에서, "대항이 아닌 대화, 동맹이 아닌 동반자'를 목표하며, '공동으로 논의하고 건설하고 향유하는 정신과 자세를 갖고 있기에 향후에도 세계의 발전을 위해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 임을 밝혔다고 중국대사관은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