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난해 규모 이상(规上) 전자정보 제조업 부가가치 8.3% 성장

 

'8.3%'

지난해 1~11월간 중국의 전자정보(IT) 제조 산업의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수출은 줄었고, 투가가 늘었다.

수출 감소는 미국 등의 견제 탓으로 보이고, 투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당국이 적극 나선 때문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경제 질서 구축을 위한 미중 갈등의 현주소가 중국의 IT산업 부가가치 발전 속에 그대로 녹아 들어가 있는 것이다. 

중국의 IT산업 부가가치는 현재와 같은 성장세를 유지 할 수 있을까? 바로 미중 갈등의 방향의 가늠자가 되는 셈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전자정보 제조업 생산은 둔화되고 수출 성장률을 감소했으며 투자는 비교적 빠른 성장을 유지했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규모 이상(规上) 전자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8.3% 증가했으며 공업 제조업보다 4.5%, 첨단 기술 제조업보다 0.3% 높았다.

주요 전자정보 제품 중 휴대전화 생산량은 14.5억 대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그 중 스마트폰 생산량은 10.9억 대로 전년 대비 3.7% 감소했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 장비 생산량은 3.82억 대로 전년 대비 10.8%, 집적회로 생산량은 2958억 개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중국의 노트북 수출량은 1.55억 대로 전년 대비 22.8% 감소했으며 휴대전화 수출량은 7.56억 대로 전년 대비 11.7% 감소했다. 또 집적회로 수출량은 2505억 대로 전년 대비 11.7% 감소했다.

지난해 1~11월 전자정보 제조업의 매출은 13조9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영업비(营业成本)는 12조1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8% 증가했으며, 이윤 총액은 669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했다.

이윤 감소의 결과는 투자 감소다. 자본주의 속에서 이유이 없는 곳에 투자는 없다. 중국 당국이 개입해 버티고 있지만 자본주의 결론은 언제나 옳았다. 중요한 것은 중국 당국이  자본주의 법칙이 실현되기 전에 이윤 항목의 반전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하는 점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아직도 이윤이 그나마 나오고는 있다는 점이다. 세계 모든 투자자들이 지켜보는 대목이다. 

 

 


사회

더보기
'제5회 상하이 혁신 및 기업가 정신 청년 50 포럼' 18일 개최
중국 상하이는 도시의 활력과 젊음의 혁신 정신이 교차하는 무대로 중국 각지에서 젊은 인재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 '제5회 상하이 혁신 및 기업가 정신 청년 50 포럼(上海创新创业青年50人论坛)'이 오는 18일 상하이센터에서 개막된다. 이번 포럼은 청년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집중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청년 개발 도시 건설을 향한 상하이의 확고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상하이는 전 세계의 혁신적인 인재를 유치하고 도시의 지속적인 번영에 신선한 혈액을 불어넣기 위해 활기찬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청년 50 포럼의 대표자 중 한 명인 정지에 상하이자오퉁대 의과대학 루이진병원 연구원은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과의 인터뷰에서 "상하이는 중국은 물론 전 세계의 중요한 경제 및 기술 중심지로서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와 학자들을 한자리에 모으고 있다"고 밝혔다. 청년 50 포럼에 합류한 이후 정지에는 학술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자신의 연구 경험과 결과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면서 많은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50 포럼의 매우 중요한 점은 많은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고 학문 전반에 걸쳐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질 수 있다

문화

더보기
中취안저우,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객 유치 위한 투 트랙 전략 추진
중국 남동부 푸젠성에 위치한 취안저우(泉州)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도시다. 송나라, 원나라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무역 중심지였다. 푸젠성은 타이완을 마주 보고 있는 대륙 지역으로 중국에서 해양 산업이 가장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취안저우는 이 푸젠성에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해 푸젠성 3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2일 푸젠성 문화유산국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더욱 적극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을 위해 관련 법과 규정을 제정하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산업 증대를 위해 중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했다. 푸젠성 최초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하여 언론 매체와 SNS 플랫폼에서 관광 상품을 홍보하는 등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관광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과 함께 생활하고 교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유적지의 대부분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급증하는 관광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