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하이, 수소전기차 시범 응용지역으로 지정

 

중국이 이번엔 수소차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상하이 일대를 '수소 연료 전지차 시범 구역'으로 정하고 집중 육성키로 했다.

여러 도시를 연결한 거대도시군을 수소연료 전지차 응용 시범 지역으로 지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소차 기술을 한국 현대차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 현대차의 기술 우위를 중국이 따라잡겠다고 나선 것이다.

27일 중국증권보 등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경제 중심 도시인 상하이 일대를 수소전기차 시범 응용 지역으로 지정했다. 지역 명칭은 '수소 연료전지차 시범 응용 상하이 도시군'이다.

이번 지정에는 중국 재정부, 공업정보화부, 과기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중앙정부 유관 부처들이 모두 참여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차 시장이다. 중국 당국이 심혈을 기울여 육성한 덕이다. 

이번에 지정된 수소연료 전기차 응용 도시군은 직할시인 상하이와 인근의 장쑤성 쑤저우(蘇州)시·난퉁(南通)시, 저장성 자싱(嘉興)시, 산둥성 쯔보(淄博)시 등이 포함됐다.

수소전지차는 전적으로 배터리에 의존하는 전기차와는 차이가 있다. 수소를 분해해 전기를 얻는 방식이어서 기존 배터리에만 의존하는 방식보다 더 높은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기존 전기차 방식으로는 트럭 제작이 불가능하지만, 수소차 방식으로는 트럭도 가능한 것이다. 

공공 차량 이용도 가능해진다.

하지만 중국에서 수소차는 그리 주목받는 종목은 아니었다. 이에 작년 중국의 수소전기차 판매량도 1177대에 머물렀다.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2000만 대가 넘는다.

중국의 정책 변화는 지난 3월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연례회의에서 시작됐다.

전인대는 '2035년까지의 장기 경제 발전 청사진'을 확정하며, '연료전지를 이용한 수소전기차 상업화 실현'을 구체적인 목표로 내세웠다.

앞서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지난 2016년 발표한 문건에서 2030년까지는 수소차 보급량을 100만대로 늘리겠다고 계획했다. 

이는 한국과 일본 정부의 2030년 보급 목표치인 63만대와 80만대를 크게 앞서는 규모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