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도, 중국 보란 듯 티베트 달라이 라마 생일 축하 전화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중국 보란 듯이 달라이 라마의 생일 축하 전화를 했다.
달라이 라마는 중국이 실질적 지배를 하는 티베트의 정신적 지주다. 중국은 달라이 라마가 존재해 해당 지역민들이 반중에 나서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달라이 라마에게 공개적인 축하전화를 하는 것은 대단히 이례적인 일이다.
모디 총리는 6일 자신의 트위터에 "달라이 라마의 86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그와 전화 통화했다"고 공개했다. 트위터에서 모디 총리는 "그가 오래 건강하게 살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AP통신은 "모디 총리가 2014년 취임 후 달라이 라마와 대화한 것을 공개적으로 확인해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모디 총리가 공개적으로 달라이 라마의 생일을 축하한 것도 수년 만에 처음이다.
모디 정부는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중국의 영향력을 고려해 외면적으로는 티베트 망명 정부와 다소 거리를 뒀다.
티베트 망명정부는 지난 2018년 초 뉴델리에서 인도 망명 60주년 사전 기념행사를 대규모로 열려고 했으나 인도 정부의 반대로 무산됐다. 
결국 행사는 이듬해인 2019년 뉴델리가 아닌 다람살라에서 열렸지만 인도 정부 인사들은 대부분 참여하지 않았다.
인도의 이 같은 태도는 중국 때문이다. 달라이 라마는 중국 침공 후 탈출, 1959년 인도 북부 다람살라에 티베트 망명정부를 세우고 비폭력 독립운동을 벌여왔다. 이 달라이 라마를 중국은 '조국 분열 활동가'로 규정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의 입장을 인도 정부로서는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상황은 지난해부터 인도-중국 간 관계가 악화하면서 달라지기 시작했다. 인도와 중국은 지난해 5월 판공호 난투극, 인도군 20명과 중국군 4명이 숨진 6월 갈완 계곡 '몽둥이 충돌', 9월 45년 만의 총기 사용 등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에서 수차례 유혈 충돌을 벌여왔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