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그룹의 시작 - 호암 이병철(28) (상)

한국비료와 이병철의 10년의 고난

한국비료와 이병철의 10년의 고난.

 

 

한국비료, 한국 산업에도 그렇지만, 이병철에게도 남다른 의미를 지니는 사업이다.  얼마나 이병철에게 의미가 있는지, 한국비료 이야기를 하면서 이병철의 첫마디를 들어보면 잘 알 수 있다.

 

 

“결론부터 먼저 말하자면, 비료공장을 한국비료라는 이름으로 울산에 완성시키는 데는 1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한국비료에 대한 이병철의 술회다10년의 고난, 바로 한국 현대사의 급변과 맞물린 것이다. 계속 이병철의 이야기다1.19혁명에 의한 이승만 정권의 붕괴, 장면(張勉) 정권하에서의 정치, 사회의 혼란은 5.16 군사혁명으로 이어진다. 이나라의 역사는 걷잡을 수 없는 격랑 속에 있었다. 그리고 나는 부정축재자라는 낙인이 찍히고, 세금 추징이라는 명목의 재산몰수도 경험했다. 실의와 재가에서의 갈등, 10년은 바늘방석이나 다름없었다.”

 

 

앞으로 이야기는 이병철의 이 10년간의 이야기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한국 사회는 급속히 안정을 찾았지만, 경제는 여전히 미국 원조에 의존을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원조가 영원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이병철은 수입대체 상품으로 제당과 모직 사업을 벌여, 값비싼 외제 상품을 대체하는 우리 상품을 내놓는다.

사회적으로는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생필품을 싸게 구할 수 있었고, 이병철 개인으로는 큰 돈을 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것으로 한국 경제의 재건이 이뤄지기는 너무나 미약한 일이었다. 이병철은 1958년 한국경제재건연구소를 만든다. 삼화빌딩에 150평짜리 사무실도 냈다. 이병철이 회장이었고, 홍성하(洪性夏)씨가 간사장 직을 맡았다.

 

 

홍성하씨는 일본 중앙대학을 졸업한 뒤 한국 독립과 함께 제헌국회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국회 경제재건위원회 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모임에는 당대 이승만씨의 양아들을 자청했던 정치인 이기붕(李起鵬)씨 등 각계 각층의 당당한 인물들이 참여했다.

 

 

이병철이 비료 공장 건설의 꿈을 가진 것은 이 때의 일이다. 당시 한국은 농업이 주된 산업이었다. 농업생산은 해마다 늘었고, 비료의 소비역시 해마다 늘었다.

 

 

한국 정부는 미국 지원을 받아 비료공장을 지었지만, 총 생산량은 6t에 불과했다. 그러나 1961년 한국 비료 소비량은 이미 30t에 달했다. 5년 뒤인 1966년에는 40t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었다.

 

 

35t 정도는 생산해야 한다. 비료도 암모니아계가 아닌 비소계의 비료가 한국 토양에 더 적합하다.’ 이게 바로 이병철의 생각이었다. 당시 35t은 한국 전체 비료 생산의 6배 가량에 달하는 수치였다. 이병철은 그래서 수출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