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그룹의 시작 - 호암 이병철(20)

다시 무에서 시작

 

제일제당 공장 착공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호암 (1953) ⓒ삼성그룹

'한국전쟁’으로 삼성물산공사는 무로 돌아가 버렸다. 인천과 용산의 보세 창고에 보관돼 있던 손질 상품도 깨끗이 없어졌다. 용산 창고의 것은 공산군이 약취해 갔고, 인천 창고의 것은 공산군이 미처 약취하기 전에 국군이 서울을 탈환했을 때 혼란의 틈을 타서 한국의 어느 유력자가 가로채 착복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전쟁은 이렇게 세상을 도적의 것으로 만들었다. 적도 아군도 전쟁의 극한에서는 모두 도적이 됐다. 
초반 전세는 절대적으로 남한에 불리했다. 서울을 점령한 공산군은 한강을 건너 파죽지세로 남하했다. 6월 25일 침략을 시작해 8월에는 이미 대전 남쪽까지 밀고 내려갔을 정도다.


그러다 9월 15일 인천상륙이 성공하고, 28일에는 서울이 수복된다. 
서울 수복과 함께 확인된 것은 삼성물산공사의 모든 것이 사라졌다는 것이었다. 특히 인천 창고의 물건을 되찾기 위해 삼성 간부들이 나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서울이 다시 북의 손에 넘어가면서 재판은 한번도 제대로 열리지 않았다.

 

 


이병철은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 1년 남짓한 짧은 동안에 기존 대회사와 비견할 만큼 천신만고 끝에 키워 놓은 삼성물산공사였다. 그것이 일조에 무산되다니 참으로 가슴 아픈 일이었다.
그러나 이병철의 실망은 여기 끝나지 않았다. 그의 자서전에는 “그(삼성물산공사가 물거품이 된 것)보다 더 실망을 금할 수 없었던 일이 있었다. 바로 한국군이 서울 부역자 색출에 나선 것이다. 이병철은 이렇게 토로했다.
“부득이한 긴급사태였다고는 하나, 말하자면 정부는 국민을 버리고 도망한 격인데, 그러한 정부가 피란할 기회조차 얻지 못했던 시민을 잔류파라 하여 죄인시 하는 것이었다. 정부의 떳떳하지 못한 성루 포기 때문에 미처 피란갈 수가 없었던 각계의 지도자들이 얼마나 고초를 겪고 희생되었던가. 정부란 과연 무엇인가를 새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병철의 결론은 무엇이었을까? 필요할 때 언제는 백성을 버리고, 그 잘못을 도리어 뒤짚어 씌우기 위해 백성을 부역자로 모는 정부를 보면서 이병철은 무엇을 생각했을까?
 

 

아쉽게도 그의 자서전에는 그 생각이 나오지 않는다. 아무래도 정부의 영향을 계속 받는 삼성에게 그의 생각 고백은 부담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잘 알았기 때문이리라. 실제 삼성은 그 뒤에서 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권의 견제를 받아야 했다. 2018년 현재 한국 문재인 정권은 재벌 개혁을 주창하고 있는데, 바로 삼성이 그 최대 목표다.
다시 한국 전쟁 당시 서울로 돌아가자. 이병철은 당시 서울 시민들의 분위기에 대해 이렇게 서술하고 있다. “서울에 잔류했던 시민은 꿈에도 생각할 수 없었던 공산치하에서 국가와 정부의 소중함을 뼈저리게 인식했으므로, 순수한 애국심에 꽉 차 있었다. 온 국민이 일치단결할 수 있는 있는 천재일우의 기회였던 것이다.

 

 

이병철은 다시 서울이 북에 넘어갈 조짐을 보이자 트럭 5대를 구해 사원 가족들과 함께 피난을 한다. 당시 트럭 한 대 임대료는 무려 200만 원이었다. 약취 당하고 남은 삼성물산 전재산을 처분해 트럭을 구했다. 1950년 12월 초순이었다.

 


대구로 향하는 길이었다. 대구에는 그가 서울로 가기 전에 양조장 사업 등을 벌였던 곳이다. 서울로 떠나며 전 사업을 현지 직원들에게 맡겨놓았던 상태였다.
대구로 가는 길을 편치 않았다. 트럭을 타고 갔지만, 길마다 피난민이 가득했다. 군용 트럭이 오면 가던 길을 양보해야 했다. 겨우 그렇게 조심 조심해 꼬박 사흘을 달려 대구에 도착할 수 있었다. 대구에는 뜻밖의 기쁜 소식이 이병철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병철의 기록으로 무슨 일인지 보자.

 


“나는 바로 조선양조장을 찾았다. 사장 김재소, 지배인 이창업, 공장장 김재명씨를 만나 신세를 지게 되었다고 부탁을 했다. 그러나 그 부탁에 대한 그들이 대답에 나는 깜짝 놀랐다. 
“사장님, 걱정하실 것 없습니다. 3억 원 가량 비축이 있습니다. 이것으로 하시고 싶은 사업을 다시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뜻밖의 구원이었다.” 


정말 뜻밖의 일이었다. 이제 새로운 시작이 가능해진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