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방황과 느닷없이 찾아든 전기…사업의 뜻을 세우다

졸업장 하나 없다

“졸업장 하나 없다.” 이병철이 스스로 자서전에서 고백한 내용이다. 일본 와세다 대학 유학을 포기하면서 이병철은 초등학교, 중학교, 대학교를 다니기만 했지 졸업하지 못해 졸업장 하나 없었다. 오랜 감기로 몸이 허약해졌다는 게 대학 중퇴의 이유였다. 그러나 앞서 살폈듯 정말 그냥 공부가 하기 싫었다고 하는 것 이상으로는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이유였다. 잠시 일본 곳곳을 유람하며 방황한다. 그러다 이병철은 돌연 무엇인가에 이끌리듯 가방을 싸들고 한국행 연락선에 몸을 싣는다.

 

 

“너도 생각이 있겠지. 요양이나 잘 해라.” 이병철의 부친은 그렇게 아들의 귀향을 반긴다. 혼날 줄 알았던 이병철에게는 뜻밖의 일이었다.

 

 

고향산천의 공기와 물은 역시 좋았다. 일본에서 그렇게 이병철을 괴롭히던 감기는 씻은 듯 사라졌다. 몸도 몸이지만, 마음이 편한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 편안함 때문이었을까? 이병철의 뜻하지 않았던 방황이 시작된다.

 

 

일본 생활에서 돌아온 이병철은 물론 처음엔 다양한 시도를 해본다. 일본은 당시 아시아에서는 가장 발달한 나라였다. 산업화에 가장 성공했다. 산업 분야는 무엇이든 한국보다 수십년 앞선 상태였다. 철도나 기계분야는 말할 것도 없고 농업 분야도 마찬가지였다.

 

 

농업 생산효과 자체가 달랐다. 당시 한국이 전형적인 아시아 농촌 생산 방식이었다면 일본은 조금씩 산업화된 농업 구조를 갖춰가고 있었다.

 

 

 

 

 

돼지만해도 일본에서는 종자를 개량한 ‘개량돈’을 키우고 있었다. 이병철은 이런 개량돈을 들여와 키워도 보고, 보다 값비싼 야채 재배도 시도해본다. 하지만 모두 뚜렷한 성과 없이 끝나고 만다. 이병철은 자서전에서 “그냥 취미 수준의 일들이었다”고 밝힌다.

 

 

그렇다고 이병철이 집안 일에 나설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당시 집안 일은 이병철의 부친과 형이 나서 모든 것을 도맡아 처리하고 있었다. 당시 한국에서는 가부장제도가 뿌리 깊게 남아 있었다. 집안 일은 가장과 장남이 알아서 하는 게 기본이었다.

 

 

결국 이병철은 도박에 손을 댄다. 할 일 없는 한량이 할 일은 도박과 계집질이다. 이병철도 어쩔 수 없는 당대 돈 많은 집의 배운 한량이었던 것이다. 이병철의 즐겼던 도박은 소위 골패라는 것이었다. 패를 돌려 숫자로 쌍을 이루는 게임이다. 이병철은 매일 무위도식하고 밤새 나가 도박을 했다.

 

 

“노름은 한밤중까지 계속돼 지칠대로 지쳐서 달그림자를 밟으며 집으로 돌아오는 일이 되풀이되었다.” 이병철 자서전에서 나오는 구절이다.

 

 

 

 

 

그런 이병철을 깨운 것은 달빛에 비친 아이들의 얼굴이었다. 기억하는 독자들이 있겠지만, 이병철은 중학교 3학년이었던 1926년 결혼을 했다. 경북 달성군 사육신 박팽년의 후손인 순천 박씨 기동공의 4녀, 박두을이 그의 부인이었다. 세월은 흘러 일본 유학에서 귀국한 이병철의 나이도 어느 26세다. 둘 사이에는 세 아이가 있었다. 이병철은 당시의 일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사람은 일생을 통해 몇 번은 전기를 맞는다. 스스로 그것을 만드는 때도 있지만 느닷없이 찾아올 때도 있다. 그 느닷없이 찾아 전기를 어느날 맞게 되었다.”

 

 

그날도 골패 노름을 하다가 밤늦게야 집으로 돌아왔다. 밝은 달빛이 창너머로 방안에 스며들고 있었다. 그때 나이 26세. 이미 세 아이의 아버지가 되어 있었다. 달빛을 안고 평화롭게 잠든 아이들의 모습을 바라보는 순간, 문득 악몽에서 깨어난 듯한 심정이 되었다.

 

 

“너무 허송세을 했다. 이제 뜻을 세워야 한다. 잠자리에 들기는 했으나 그날 밤은 한잠도 이룰 수 없었다.”

 

 

잠자리 든 이병철의 머리 속에는 온갖 잡념이 스쳐갔다. 무엇보다 가슴을 짓누른 것은 후회였다. 깊은 반성이었다. 그리고 이병철은 자신이 할 수 있는 것들을 다시 고민했다. 돈 버는 일을 만드는 것, 사업이었다. “뜻을 굳힌 것이 사업이었다. 물론 구체적인 계획이 떠오른 것은 아니었다.” 

 

 

이병철의 사업은 이렇게 시작됐다.

 

 

 

 

 

 

 

 

笔者 淸露 图片摘自 三星集团

 

 

 

 

 

 

 

 

 

 

 

 

 

 

 

 


사회

더보기
산둥성 웨이하이, 중의약 전승 혁신 발전 시험구로 선정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威海市)는 최근 국가중의약관리국이 선정한 ‘전국 1차 국가 중의약 전승 혁신 발전 시험구’에 포함됐다고 6일 밝혔다. 중국이 중의학의 현대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의학에서 중의학은 서양의학에 밀려, 찾는 사람이 갈수록 적어지는 상황이다. 서양의학은 바로 상처나 병의 원인을 찾아 제거하거나 보정하는 조치를 취해 그 효과가 직접적이며 즉각적인 반면, 동양의학은 섭생의 약효나 내부 잠력의 격발을 통해 치료를 해 그 효과가 장시간에 걸쳐 나오는 게 특징이다. 자연히 당장 아파서 죽겠는데, 혹은 정말 심하게 다친 경우 중의학을 찾기보다는 서양의학을 찾게 된다. 그러나 동양의학은 병의 근본 원인, 스스로의 치유능력을 극대화해 부작용이 없고 가끔 서양의학이 치료를 포기한 병도 고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국에서도 동·서양 의학의 장점을 모아보자는 시도가 있었지만, 어느 시점부터 한의학은 조금씩 시장에서 도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 국무원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산하기관인 국가중의약관리국은 중의학의 연구 및 확대와 안전관리 등의 사무를 담당하며, 최근 중국내 54곳을 중의약 전승 혁신 발전 시험구로 선정했다. 웨이하이시는 이번 선

문화

더보기
中취안저우,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객 유치 위한 투 트랙 전략 추진
중국 남동부 푸젠성에 위치한 취안저우(泉州)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도시다. 송나라, 원나라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무역 중심지였다. 푸젠성은 타이완을 마주 보고 있는 대륙 지역으로 중국에서 해양 산업이 가장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취안저우는 이 푸젠성에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해 푸젠성 3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2일 푸젠성 문화유산국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더욱 적극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을 위해 관련 법과 규정을 제정하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산업 증대를 위해 중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했다. 푸젠성 최초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하여 언론 매체와 SNS 플랫폼에서 관광 상품을 홍보하는 등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관광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과 함께 생활하고 교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유적지의 대부분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급증하는 관광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