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하늘 천(天)이 전하는 지혜

 

 

 

하늘을 보라.

구름이 보이는가? 해와 달은 보이는가?

 

다시 묻자.

보이는 하늘은

공간인가?

시간인가?

 

하늘에서 무엇을 보는가.

 

여기에 가장 근본적인 지혜가

삶의 근원적 질문과 답이

담겨져 있다.

 

수천 년 한자가 담아

전하는 선인의 지혜다.

 

다시 묻자.

하늘은

공간인가? 시간인가?

한자 천(天)은

공간인가? 시간인가?

 

이 질문의 답이

인류가 문명을

일구는 단초다.

 

그래서 하늘 천(天)은

일찍이 갑골자에 나온다.

 

묘한 게

하늘 천(天)은 하늘이 아니다.

모양을 본 뜬 상형자인데,

하늘을 본 뜬 게 아니라

사람을 본 떴다.

하늘 천(天)이 가르키는 건

하늘이 아니라

사람이다.

하늘을 보는 큰 사람이다.

큰 사람,

하늘을 보는 큰 사람이다.

 

더 정확히 하늘 천(天)은

하늘의 해가

큰 사람의 머리 위를 지나

동편에서 서편으로 가는

한 장면을 담고 있다.

 

멈춘 공간이 아니라

움직이는 공간,

하늘이 담은 시간이다.

 

그래서 아직도 중국에선

천을 하늘 천이라 하지 않고

하루 천이라 한다.

 

하루를 담은 하늘

그게 진정한 하늘이다.

 

인류는 태어나면서 천을 봤다.

공간을 봤고,

그 공간의 변화를,

시간을 봤다.

 

최초의 인류는

하늘에서 해를 보고

하루의 시작과 끝을

알게 됐고

 

달을 보고

월을 알고

별을 보고

계절을 알았다.

한해를 알고

역(歷)을 알았다.

 

하늘은 공간이며

그 변화가 시간임을 안 것이다.

 

그렇게 갑골자 속의

큰 인간은

하늘을 보고

역사를 봤다.

 

수천년이 지나

기술의 시대를 사는

인류는

어느새 그 시간을

손목으로 가져와

매일 본다.

달력으로 가져와

매월을,

한해를

손쉽게 정리한다.

 

하지만 정작

우리는

하늘 보기를 잊었고,

십년을 보지 못하고

백년을 설계 하지

못하게 됐다.

 

우리가 진정한 하늘 천(天),

시간을 담은 하늘을 잊은 탓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