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머물면 뜻이 된다. 뜻으로 살고 추억을 남기고 간다

2020.05.27 01:22:18

 

의(意), 뜻이다.

마음 위에 있는 소리다. 마음에서 우러나는 소리다.

끝없이 들리는 마음의 소리다.

 

내 마음 속의 소리가 들리면, 수없이 끊임없이 들린다.

저절로 행하게 된다.

마음의 소리가 없어질 때까지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것, 

그치지 않는 마음의 소리,

그 것이 바로 뜻이다. 의지(意志)다.

 

한자 의지는 다른 것이 아니다.

마음의 소리가 끊임없는 게 의(意)이고,

그 마음의 소리가 변치 않는 게 지(志)다.

 

의지란 마음 속 수많은 소리의 파편들이 하나가 되고, 그 것이 머물러 변치 않을 때 의지가 되는것이다. 순 우리말 그대로, 앞의 의도 뜻이요, 뒤의 지도 뜻이다.

 

의지란 그런 것이다.

마음 속 소리의 파편들이 하나로 형체를 이루고 머무는 것이다.

 

그 의지는 오래될수록 빛이 난다.

세월의 풍파와 마연(磨硏)으로 만들어지는 빛이다.

 

그런 의지는 사람과 동물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기억의 억(億)은 그런 생각을 담았다.

 

억은 소전(小篆)에 그 모습이 보인다. 개인적으로 봐도 갑골문에서 보이기에는 뜻이 너무 섬세하다.

사람 인 옆에 뜻 의가 있는 모양이다. 지금의 형태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사람 인의 모양과 뜻 의의 모양이 현대화 됐을 뿐이다.

 

관련 사전에는 금문에도 글자가 보인다.

그런데 그 글자는 뜻 의자와 같다. 본래 뜻 의에 기억이라는 뜻이 같이 쓰이다가 소전을 쓰던 전국시대에 와서 뜻과 기억이라는 의미가 구분 된 것 아닌가 싶다.

 

 

뜻이 기억인 것이다. 마음의 소리가 있어야 마음에 남고, 마음에 남으면 그 것이 뜻이 되고, 기억이 된다. 뜻을 이루던 이루지 못하던 결론이 나고서 남은 마음의 소리가 기억인 것이다. 바로 그 기억이 추억이 된다.

 

결국 기억이나 추억이나, 그 원형은 마음의 소리였던 것이다.

사람의 뜻, 사람 마음의 소리가 기억이요 추억이다. 사람의 뜻이 기억이 되고 추억이 되는 것이다.

처음 뜻을 세우고, 그 세운 뜻이 남아 기억이 되는 이치다.

 

마음이 어찌 추억이 되는가? 이 과정은 시인들의 영원한 테마이기도 했다.

 

"此情可待成追億(차정가대성추억)"

"오늘 이 정이 추억이 되리니"

 

만당의 유미주의자 의산(義山) 이상은(李商隱812~약 858)의 ‘금슬’이라는 시의 한 구절이다.

시 금슬은 이상은이 죽은 아내를 그리며 썼다고 한다.

 

이상은의 아내는 남편을 위해 금슬을 켰다. 그 금슬에는 아내의 남편을 위한 마음 조각 조각들이 남겨져 쌓여 갔다. 아내가 죽은 뒤 금슬은 그래도 아내가 남긴 마음을 담고 있다.

그게 정이고 그리움이다. 추억이다.

아내의 마음, 그 뜻이 이상은의 추억이 된 것이다.

 

 

오늘의 정은 내일의 추억이 된다.

사람은 그렇게 뜻으로 살아 추억을 남기고 죽어가는 것이다.

박청로 parkchungro@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