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는 성당이 아니다. 도덕 기준보다 일 잘하는 인물이 필요한 곳이다.

  • 등록 2017.05.31 15:26:04
크게보기

한국 총리는 성직자(聖職者)?’ 한국에서 총리 후보자들에게 적용되는 엄격한 윤리적 기준을 비꼬는 말이다. 성직자나 할 게 한국 총리라는 의미다.

 

최근 문재인 정부 초대 국무총리로 지명된 이낙연 총리 후보자 역시 높다란 윤리 기준을 수월히 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 후보자는 배우자의 위장전입 의혹에 발목을 잡혔다. 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위장전입을 비롯한 5대 비리가 있으면 고위공직자 인선에서 원천 배제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과 이 후보자의 임명이 배치된다며 인준을 거부하고 있다.

 

 

 

앞선 정부에서도 새 정부 1호 총리 지명자가 쉽게 임명된 적은 한 차례도 없었다. 박근혜정부를 제외하고는 초대 후보자들이 모두 총리직에 오르긴 했지만, 그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박근혜 정부의 첫 총리로 지명된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은 전관예우 논란, 두 아들의 병역면제 의혹, 본인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이 잇따라 불거지자 지명 닷새만에 총리 후보자에서 자진 사퇴했다.

김 전 소장 낙마 후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의 공직자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검사 출신의 정홍원 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이 두번째 총리 후보자로 지명됐다. 정 전 총리는 부동산 투기와 위장전입 의혹에도 비교적 무난하게 청문회를 통과했지만 2014 4월 세월호 참사 당시 적절한 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참사 발생 열흘만에 사의를 표명했다. 정 전 총리가 자리에서 물러나는 과정 또한 매끄럽지 못했다. 그의 뒤를 이은 후보자들이 잇따라 청문회 문턱을 넘지 못하며 사의 표명 후 296일이나 더 총리직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MB정부의 초대 총리는 대통령의 임명부터 국회 인준까지 1달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2008 1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한승수 전 유엔(UN) 기후변화특사를 초대 총리도 지명했다. 내각의 측근 인사 기용 논란이 불거졌지만 초대 총리만은 당선인과 특별한 인연이 없는 인사를 골랐다는 평을 받았다. 하지만 한 전 총리는 허위 학력과 투기 의혹 등을 둘러싸고 야당의 집중 공세를 받았다. 이에 임명동의안은 대통령 취임식 나흘 뒤인 2 29일에야 가까스로 국회 인준을 통과했다.

참여정부에서는 후보자 개인의 결함보다 정치적인 상황으로 '총리 수난사'가 쓰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2003 1월 고건 전 총리를 총리 후보자로 지명했다. 자신의 개혁성향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연륜과 안정감이 강점인 중도보수 성향의 '고건 카드'를 택했다.

 

고 전 총리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진행됐지만 당시 한나라당(현 한국당) '대북송금 특검법'의 통과 없이는 총리 인준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같은 한나라당의 요구에 결국 총리 임명동의안과 특검법안이 대통령 취임식 이튿날 나란히 처리되는 모습을 보였다

 


글=김샛별

海東周末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