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신질서 추구, 세계 1대 위협요인으로 꼽혀. … 중국은 신대국외교 재차 강조.

  • 등록 2018.01.03 10:35:51
크게보기

 

안녕하세요. 해동의 1월 3일 자 오늘의 중국 뉴스 브리핑입니다. 이 코너는 중국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를 보자는 취지로 운영됩니다. 중국은 세계의 지도부에 매번 조금씩 다가가고 있습니다. 
세계가 틈을 만들면 바로 중국이 파고드는 식입니다. 2018 년 세계의 영향력 지형은 더욱 극심하게 변할 전망입니다. 

 

 

 

미국의 소리가 재미있는 보고서를 소개했네요. 미국의 싱크탱크인 유라시아그룹의 '2018 년 세계 10대 위험 예측 보고서'입니다.
소위 세계 안전을 위협하는 10개 요소를 선정한 것입니다.
첫째는 중국의 외교입니다. 세계 중심 지도력이 약화되는 틈을 타 중국이 새로운 세계 질서를 만들려 노력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둘째는 북핵 문제군요.
셋 째는  세계 각국, 특히 미국과 중국의 기술 냉전冷戰을 꼽았습니다.
중국의 인공지능, 슈퍼컴 분야의 기술 발전은 미국과 경쟁을 촉발할 것이고, 이는 인도, 남미, 유럽 등 주요 시장 장악 경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현재 미국은 개인 회사들인 반면, 중국은 국영 기업이어서 국가 전체의 힘이 집중돼 유리한 면이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실제 이날 신화新华통신은 "신시대 중국 특색 대국 외교를 장엄히 시작한다"라는 장문의 기사를 송고했습니다. 

내용은 "위대한 시진핑习近平 동지의 사상에 전 세계가 하나의 운명 공동체로 거듭나도록 하겠다"입니다. 시 주석 용비어천가네요. 

 

 그래도 신년에 시 주석이 내치와 외치를 동시에 강조한 가운데 나온 기사여서 주목됩니다. 
즉 대국 외교에 그만큼 힘을 쏟겠다는 것이죠. 
이는 중국이 이제 자국 내부 개발만으로 경제의 발전 동력을 만들기에 부족하다 느끼기 때문에 주변국 투자 개발에 적극적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실제 중국은 2018 년 '일대일로'를 내세우며, 주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가 특집으로 중국의 신장위구르와 카자흐스탄 국경도시인 훠얼궈스가 새로운 교통의 중심지로 개발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미 이곳은 중국 영화 등 연예 기획사들이 몰려들어 화제가 된 곳이죠. 
지난해 3월까지 7000개의 연예 기획사가 현지에 법인 등록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북의 대화 제의가 중국을 비롯한 각국 주요 매체들의 관심사입니다. 중국은 예상 그대로 환영한다는 입장인데, 서방 매체들의 시선은 그리 곱지가 않습니다. 독일의 소리 중문 서비스는 지금까지 남북 대화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결과는 좋지 않았군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북한이 새로운 미사일 실험 발사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경고와 함께 지금 시점의 남북대화가 긴장완화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적다"는 미국의 입장을 전했습니다.

 

보쉰博讯은 미국에서 중국의 비밀 외교문건이 공개됐다고 전합니다. Washington Free Beacon이 공개했다고 하는 문건에 따르면 중국은 북한이 핵 개발 진행을 중단한다면 비핵화 요구는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고 합니다. 중단 즉시 각종 경제 원조도 약속했었다고 합니다. 문건은 지난해 9월 15일 중국 중앙 판공청에서 작성됐다고 하네요.

 

정말일까요? 기사에서 분석했듯 그렇다면 중국은 입으로만 한반도 비핵화를 요구했던 셈이군요.  

 

 

중국에서는 올 1월 텅쉰腾讯의 위쳇으로 전 국민 신분증을 발급하는 것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위쳇은 중국인이 가장 많이 쓰고 있는 우리나라 카톡 같은 것입니다.
그러자 이번엔 텅쉰의 위쳇이 중국 정부를 대신해 온 국민을 감시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실제 공안이 한 시민운동가의 위쳇 활동을 전면 금지한 사실을 폭로했습니다.

 

 

 

텅쉰은 전 국민의 대화를 감시하고 있다는 우려에 "그럴 수도, 필요도 없다"고 공식 부인했습니다.
그래도 중국 당국이 왜 개인 회사에 전 국민을 강제로 가입하도록 만들었을까요?
이유가 있을 겁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이 한가지 더 재미있는 사실을 지적했습니다. 
중국 인터넷 보안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중국왕신반 부주임에 가오샹高翔이라는 인물이 임명됐는데, 바로 푸젠 출신이라고 합니다. 시 주석의 측근이라는 의미입니다.

 

 

최근 베이징 집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죠. 그런데 2017년 300개 주요 도시에서 중국 토지 거래 수익 총액이 4조 123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6% 늘었다고 합니다.

 

 

중국의 모바일 금융거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인터넷 금융거래 시스템인 즈푸바오支付宝에서 모바일 이용 규모가 82%에 달했다고 합니다.

 

 

모바일 뱅킹 부분은 이미 중국이 한국을 여러 면에서 앞서고 있습니다.
이상 해동이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海東周末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