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조7000억 위안’
한화로 약 5,014조 70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7월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보다 4% 가까이 늘었다.
중국의 무역이 미국발 관세전으로 글로벌 무역환경이 급속히 악화하는 속에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의 상품 무역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7월 중국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은 25조7천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다.
허융첸 상무부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올해 들어 국제 경제무역 발전이 직면한 위험과 도전이 뚜렷이 늘어났으나, 복잡한 배경 속에서도 중국 대외무역은 안정 속에서 진전을 이루며 누적 수출입 증가율이 매달 반등했고, 17월 3.5% 성장을 달성하여 양과 질이 모두 제고되었다고 밝혔다.
중국 매체들도 “지난해 4분기 이래 대외무역 안정 정책을 여러 차례 내놓고 대외무역 신동력 배양, 공공 서비스 강화, 대외무역 기업의 주문·고용 안정 지원 등에 정책적 보장을 지속 강화했다”라며 정책 성공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실제 자료에 따르면 금융 분야만 보더라도, 올해 1~7월 중국신용보험공사(COFIC)의 단기 보험 인수액은 5,735억 달러(약 803조 7,602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했다. 수출입은행은 대외무역 분야 신규 대출을 7천억 위안(약 136조 5,700억 원) 이상 공급했다.
아울러 무역 대상국도 늘었다. 올 1~7월 신흥 및 기타 시장과의 수출입은 5% 증가했고, 비중은 65.5%로 전년 동기 대비 0.9%포인트 높아졌다. 그중 아세안과 아프리카와의 수출입은 각각 9.4%, 17.2% 증가하여 전체보다 뚜렷이 높았고, 일대일로 관련 국가와의 수출입은 5.5% 증가하여 비중이 51.7%로 상승했다.
수출품은 더욱 고도화됐다. 올 1-7월 기계·전기 제품 수출은 9.3% 증가하여 비중이 60%에 달했고, 전년 동기 대비 1.1%포인트 높아졌다. 스마트 홈, 전기차, 산업용 로봇, 선박 등 고기술·고부가가치 제품이 높은 수출 증가율을 유지했다.
광범위한 대외무역 기업들은 난관을 돌파하며 변화를 모색하고 신시장을 찾고 신제품을 개발하며 신채널을 개척했다. 올해 17월 수출입 실적을 기록한 대외무역 기업은 65.4만 개에 달했으며, 이 중 90% 가까이 민영 기업이었다.
허융첸은 현재 글로벌 경제무역 발전이 여전히 큰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러 국제기구는 관세 장벽이 글로벌 무역 비용을 크게 높여 글로벌 생산·공급망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으며, 글로벌 무역이 여전히 하방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허융첸은 “우리는 언제나 고수준 대외개방을 확대하는 것을 고수하고, 흔들림 없이 우리 자신의 일을 잘하며, 고품질 발전의 확실성으로 각종 불확실성에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