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물류 산업 지수가 7월에도 활황세를 이어갔다.
폭염과 지역적 홍수 등 기상 악재에도 불구하고 물류 수요는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중국중앙미디어그룹(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물류구매연합회는 최근 7월 중국 물류업 경기지수가 50.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월 대비 0.3%포인트 하락한 수치지만 기준선인 50%를 넘긴 것이다.
이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활황세, 미만이면 침체국면을 의미한다. 중국 물류업은 중국 당국의 지도 아래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온,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플랫폼 경제’의 핵심으로 물류 산업을 꼽고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물류 비용 절감에 나서고 있다.
중국 당국은 철로와 항공, 항로 중심의 국가적 물류 인프라를 구축하고 세부 신경망을 택배망으로 커버하도록 하면서 IT 기술을 도입, 물류 저장부터 배송까지 단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 당국의 노력 속에 중국 물류업은 꾸준한 발전을 구가하고 있다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번 7월은 특히 중국 중부 및 서부 지역의 물류 활동이 전국 평균을 웃돌며 견조한 흐름을 나타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주요 산업 부문 중 전자상거래 택배와 항공 물류가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철도와 도로 운송도 점차 안정세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전자상거래 택배의 업무 총량 지수는 69.3%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신선식품과 제철 농산물의 출하 증가에 힘입어 항공 물류 역시 성장세를 지속했으며 항공 운송 지수는 52.8%로 전월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창장삼각주(長江三角洲)와 주장삼각주(珠江三角洲) 지역에서 물동량이 반등 조짐을 보였다. 여름철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에너지 관련 기업들의 말단 재고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석탄 수송 수요도 늘어나 철도 운송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