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시 올 상반기 5.5% 성장 구현

  • 등록 2025.08.04 02:01:16
크게보기

 

중국 경제를 이끄는 주 경제체인 베이징시의 올 상반기 5.5% 성장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 전체 성장세인 5.3%보다 소폭이지만 높은 수치다.

그만큼 베이징시의 경제가 안정적 성장을 했다는 의미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상반기 베이징시는 5.5%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고 시 당국이 밝혔다. 특히 상반기 디지털 경제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전국 통합 대시장 건설에 베이징시가 적극적으로 호응한 결과이며, 강한 회복력, 내수 확대, 생산 촉진, 순환 원활화 등 일련의 정책이 시너지 효과를 낸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디지털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시 당국은 베이징 국제 빅데이터 거래소의 거래 규모는 60.8%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인공지능 대형 모델은 총 132종이 등록되어 출시되었으며, 지능형 클라우드의 낙찰 건수와 금액 모두 전국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첨단 기술을 확보한 유니콘 기업 등이 베이징의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으며, 시 전체 기술 계약 거래액은 6.2% 증가했다.

시 당국 발표에 따르면 아울러 신생 자동차 기업이 업계를 주도하며 자동차 제조업의 부가가치를 전년 동기 대비 16.7% 끌어올렸다. 제약 업종은 전방위 정책의 지원을 받았고, 제약 혁신 단지도 고급 혁신 자원을 빠르게 집결시켜 혁신 의약품 및 의료기기 11종이 승인되어 상장됐다.

이는 중국 성별 성적으로도 상위권에 해당한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아울러 전략적 신흥 서비스업도 안정적으로 속도를 높이며 상반기 부가가치가 10.2% 증가했다.

시 당국은 시내의 소비 공급은 시민 수요에 더욱 잘 부응하며 ‘서비스 + 체험 + 기술’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상반기 대형 상업시설이 꾸준히 새로 개장되었으며, 새로 오픈한 면적은 약 75만 제곱미터에 달한다고 밝혔다.

창핑 초극허성훼, 중해대길항 등은 상업, 문화, 관광, 체육의 경계를 허물며 융합형 업종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베이징 국제영화제, 대형 전시회, 콘서트 등 고품질 문화 관광 콘텐츠도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서비스형 소비액이 4.7% 증가했고, 주민의 서비스 소비 지출 비중은 전체의 약 60%에 달했다고 밝혔다.

박정민 pjm@kochina21.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