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상하이를 통해서 본 중국의 기술 중심 산업생태계 재편의 현주소

  • 등록 2025.07.29 00:15:43
크게보기

 

상하이시가 중국 산업 재편의 상징이 되고 있다.

상하이에서 보여주는 산업 재편이 중국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산업 재편의 핵심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상하이는 신흥 동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면서 첨단 제조업은 핵심 분야에서 급속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민생과 산업 발전에 깊숙이 융합되었다”고 평가했다.

실제 휴대폰 터치 결제, 고급 주류 위조 방지, 신에너지차의 차량 제어 시스템과 쾌적 시스템 등 생활과 산업 곳곳의 응용 장면을 시 곳곳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 푸단마이크로전자그룹주식회사가 개발한 국산 반도체 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푸단마이크로전자는 최근 몇 년간 해마다 10억 위안(약 1,920억 1,000만 원) 이상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해왔고, 이는 매출의 약 30%를 차지한다고 알려졌다. 끊임없는 기술 돌파의 이면에는 세금 우대 정책이 기업의 혁신에 강력한 동력을 제공해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푸단마이크로전자 회장이자 총경리인 장웨이는 “푸단마이크로전자는 첨단기술기업으로서, 2024년에 누린 세금 혜택이 1억 8천만 위안(약 345억 6,180만 원)에 달했다”고 밝혔으며, “이 정책 혜택을 계속 연구개발에 재투입해 자주성, 신뢰성, 기술 장벽이 높은 핵심 칩 분야에 집중하며 전 세계 고객에게 고품질의 중국산 칩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형 생산력의 발전은 고품질 발전을 실현하고 중국식 현대화를 추진하기 위한 필연적인 길이라 평가된다.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상하이시의 첨단기술 산업 판매 수입은 전년 대비 18.8% 증가하여 빠른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특히 시의 주력 분야들은 더욱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디지털경제 핵심 산업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했고, 기업의 정보기술 서비스 구매액은 14.7% 증가했다고 집계되었다. 산업용 로봇 제조와 특수 작업용 로봇 제조의 판매 수입도 각각 3.8%, 52.7% 증가했다.

 

인공지능은 상하이가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세 가지 선도 산업 중 하나이자 신형 생산력 발전의 핵심 영역이다. ‘모속공간’은 전국 최초의 대형 AI 모델 혁신 생태 커뮤니티로, 2023년 9월 쉬후이 빈장 지역에서 정식 출범한 이후 현재 200개 이상의 기업이 입주했고, 쉬후이 전역에 걸쳐 600개 이상의 대형 AI 모델 기업이 집결하게 되었으며, 지금까지 50개의 대형 AI 모델 프로젝트가 등록되어 실현되었고(상하이시 전체의 약 61% 차지), 연산력, 기초 모델, 수직 응용을 아우르는 산업 전 주기를 형성해 상하이를 더욱 경쟁력 있는 세계급 AI 산업 집결지로 이끄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모속공간’은 상하이 세무 당국의 ‘과학기술 혁신 세무 큐브(科创税立方)’ 홍보 서비스 브랜드의 오프라인 세무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세무 당국은 전문가 팀을 구성해 입주 기업들을 위해 납세 신고, 정책 적용, 리스크 경고 등 전 과정에 걸쳐 밀착 지원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유니콘 기업, 가젤 기업의 경영 특성과 인력 구조를 고려해, 상장 관련 유의사항, 지분 양도 문제, 개인소득세 특별공제 정책 등에 대한 전용 설명회를 열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 부처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말 그대로 ‘문 앞까지 찾아오는 서비스’였다”고 ‘모속공간’ 운영사인 상하이대모델생태발전유한회사의 양징징 회장이 밝혔다. ‘모속공간’ 인근 세무 관리소를 활용해 ‘5분 내 세무·납부 서비스권’을 구축하고, ‘모속공간’과 함께 세금 공동관리 지점을 조성했으며, 최신 세대의 스마트 자조 세무 기기를 통해 대형 모델 기업과 임직원들이 건물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일상적인 세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유혜정 lucirhj@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