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까지 올 상반기 중 6600만 명의 소비자, 총 1억 900만 대 가전 신형으로 교체

  • 등록 2025.07.25 07:38:39
크게보기

 

올 상반기까지 중국에서 6600만 명의 소비자들이 총 1억 900만 대의 가전제품을 구형에서 신형으로 교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위 ‘이구환신’(구형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비용 지원 정책) 정책의 결과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쳐왔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짙어지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내수시장을 적극 키우기로 하면서 다양한 재정정책과 함께 저금리 통화 완화정책을 펼쳐왔다.

‘이구환신’은 중국 재정정책의 대표주자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이구환신’ 정책 실행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이 ‘이구환신’ 정책의 지원을 받아 6,600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12대 가전제품을 대상으로 중고 제품 1억 900만 대 이상을 신제품으로 교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6,900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휴대전화 등 디지털 제품 7,400만 점 이상을 구매했다.

전국 8만 2천 개의 판매 매장이 전기자전거 중고 교환 캠페인에 참여해 총 905만 6천 대의 신차로 교체되었다. 전통 브랜드 상품과 서비스도 소비자들에게 폭넓게 사랑받았다.

중국 매체들은 “중고제품 교환 정책은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고, 국산 '트렌디 상품'은 큰 인기를 끌었다”며 “정책은 소비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끌어냈다”고 평가했다.

실제 자료에 따르면 중국 각 지역에서는 지속적으로 ‘2025 전통브랜드 카니발’을 추진해 직접 판매 27억 8천만 위안(약 5,356억 7,820만 원)을 달성했다.

온·오프라인 통합 매출은 116억 2천만 위안(약 2조 2,390억 5,780만 원)에 달했다.

플랫폼 기업 데이터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중화 전통 브랜드 외식업체의 홀 영업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2% 증가했다.

중국 재정정책의 효과가 전자 제품은 물론, 외식 산업까지 미치는 모양새다. 다만 ‘이구환신’ 정책이 지속되면서 정책의 지속적인 효과는 점점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중국 당국은 어떤 재정 정책을 통해 내수 부양에 나설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중국 당국은 올 하반기 대규모 인프라 건설에 나서면서 재정정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다만 아직 ‘이구환신’의 효과를 대신할 정책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은 없는 상태다. 중국 전문가들은 올 10월 예정된 공산당 정치국 회의를 통해 전반적인 경제 정책의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정민 pjm@kochina21.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