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휴머노이드' 중국의 새로운 산업 혁신 주력

  • 등록 2025.07.21 10:24:07
크게보기

 

‘출시 7일만에 사용자 1억 명 돌파, 출시와 함께 1억2400만 위안 계약 수주’

최근 중국을 주도하는 AI(인공지능) 대형모델 딥시크(DeepSeek)와 휴머노이드 로봇의 실적이다. 중국을 대변하는 유니콘들이다.

중국의 새로운 기술 기업들이 산업 구조 개편을 빠르게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강력한 견제에도 불구하고 중국 기술 유니콘들의 굴기가 돋보이는 대목이다.

중국 매체들은 이들 유니콘을 ‘신산업의 주자’라 부르며 새로운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이들 매체에 따르면 실제 이들 딥시크, 유머노이드 로봇 외 신에너지차는 생산·판매 모두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성장했다.

최근 상하이에서 개최된 2025년 세계모바일통신대회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433종의 AI 대형모델을 등록하고 서비스 제공을 시작했다. 300개 이상의 도시에서 5G-A 커버리지를 실현했고 사용자 수는 1000만 명을 넘어섰다.

GSMA(세계이동통신협회) 대중화권 총재 쓰한은 “전 세계적으로 중국은 5G 상용화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기술 혁신은 기존 서비스를 최적화할 뿐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이 구축 규모와 추진 속도에서 우위를 갖고 있으며, 5G 기술로 산업 혁신을 이끌고 경제에 강력한 동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강조했다.

톈옌차(天眼查) 자료에 따르면, 8대 신산업과 9대 미래산업 분야에서 상반기 새로 설립된 정보기술 관련 기업은 145만 개를 넘어 전년 대비 8.7% 증가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기업은 9만 461개로 46.4% 증가했고, 민간항공 관련 기업은 1만 9,938개로 무려 103.6% 급증했다.

스마트 제조 열풍과 첨단 과학기술의 이중 추진 속에서 신산업은 중국 경제의 ‘핵심 장면’으로 부상하고 있다.

즈롄(智联)취업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채용공고 수는 전년 동기 대비 398.1% 증가해 모든 분야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AI와 로봇 기술의 융합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스마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관련 연구개발, 제조, 응용 분야에서 인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산업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되었음을 입증했다.

중국은 이미 초보적인 휴머노이드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초보적인 휴머노이드를 주문 제작하는 시장을 연 것이다. 세계 최초의 일이다.

조만간 세계는 중국이 만든 전기 자동차, 중국이 만든 가정용 휴머노이드를 쓰는 시대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박정민 pjm@kochina21.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