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7.1%, 53%, 36.2%, 17.7%’
올 상반기 중 중국에 투자한 외자 전자상거래 서비스업, 화학의약 제조업, 항공우주기기 및 장비 제조업, 의료기기 및 장비 제조업체들의 실제 외자 사용 금액 증가폭이다.
이들 기업의 투자 증가폭은 미국의 강력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증췐르바오 등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외자기업 투자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제조업 분야에서 실제 사용된 외국 자본은 1,090억 6,000만 위안(약 21조 1,423억 원)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 분야가 3,058억 7,000만 위안(59조 2,959억 원)이었다.
이어 고기술 산업의 실제 외자 사용 금액은 1,278억 7,000만 위안(약 24조 7,888억 원)에 달했으며, 그 중 전자상거래 서비스업, 화학의약 제조업, 항공우주기기 및 장비 제조업, 의료기기 및 장비 제조업의 실제 외자 사용 금액은 각각 127.1%, 53%, 36.2%, 17.7% 증가했다.
고기술 분야의 중국 투자는 미국이 강력히 규제하고 있는 분야다. 이런 미국의 규제를 뚫고 중국에 적극 투자한 외국 자본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이다.
중국 상무부는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고기술 산업에서 외자 유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외자 활용의 질도 크게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중국에 투자를 한 지역을 보면, 아세안 지역의 대중국 실제 투자액은 8.8% 증가했고, 스위스, 일본, 영국, 독일, 한국의 대중국 실제 투자는 각각 68.6%, 59.1%, 37.6%, 6.3%, 2.7% 증가했다(자유항을 통한 투자 포함).
올 들어 중국은 아세안 국가들과 러시아와 남미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소위 남반구의 국가들과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중국은 이들 국가들을 중심으로 미국의 공급망에 맞서는 대항 공급망 채널을 만든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과 이들 국가의 경제규모를 합치면 글로벌 사회 전체 비중의 3분의 1을 넘어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