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글쓰기가 작가를 능가한다면, 인간의 창의력은 대체될 것인가?’
최근 중국에서는 ‘90허우’ 작가 류추신이 소설 《니탄(泥潭)》으로 리장문학상 허구 부문을 수상했다. 시상식에서 그는 병으로 세상을 떠난 여자친구가 자신에게 보내준 지지에 대해 울먹이며 이야기했고, 객석의 모든 관객이 깊이 감동했다.
인간의 최고 장점은 경험을 나누는 공감이다. 감동은 이런 공감의 토대에서 나온다. 그럼 AI는 인간을 공감하고 인간의 감정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일까?
류추신이 연설을 했던 한 달 전, SF 소설 《삼체》 시리즈의 작가 류츠신은 여러 작가들과의 좌담에서 AI의 글쓰기 능력이 급격히 향상된 데서 받은 정신적 충격을 털어놓았다.
류츠신은 자신이 더 이상 젊었을 때처럼 강한 창작 욕구를 느끼지 못하고, 창작 중 자주 벽에 부딪힌다며 오직 꾸준한 노력과 사고로 극복하고 있다고 고백했다. 그는 장편소설 중 한 챕터를 대형 언어모델 DeepSeek에게 이어 쓰게 했는데, 그 결과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다 읽고 난 뒤 정말 인정하고 싶지 않았지만,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글은 정말 나보다 잘 썼다.” 류츠신은 “엄청난 상실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글쓰기에서 가장 큰 즐거움은 내가 만든 SF적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세계와 이야기를 창조하는 것이다.” 류츠신은 AI의 글쓰기가 인간을 추월하기 시작하면, 인간 글쓰기의 의미가 달라질 것이라고 보았다. “작가의 정신적 정체성은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우리는 더 이상 절대적인 창조자가 아니게 될 것이며, 어떤 존재로 변화하게 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AI의 충격을 체감한 창작자는 비단 류츠신만이 아니었다. AI가 인간의 창의력을 대체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중국 문학·예술계 전반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있었다.
SF 작가 한쑹은 AI가 인간 창작의 ‘협력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AI는 풍부한 지식을 집약하고 있어 사고를 자극하고, 상상치 못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인간 창의력에는 AI가 아직 갖추지 못한 요소들이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독특한 삶의 경험, 무의식과 번뜩임, 비합리성과 불확실성이다.”
그는 창의력은 인간의 의식과 감정의 파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컴퓨터 과학에서 아직 완전히 풀지 못한 과제이므로, 현재로서는 인간의 창의력이 AI에게 패배하긴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AI는 알고리즘이 닿을 수 있는 범위 안에서만 작동하지만, 창의력은 종종 인간 의식 속 신비로운 작동 메커니즘에서 비롯된다”고 그는 설명했다.
한쑹은 인간과 AI의 협력을 통해 SF 창작의 경계가 확장될 수 있다고 보았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인간이 수년이 걸려야 찾을 수 있는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해 전혀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더 깊은 우려를 표하는 창작자도 있었다.
감독 겸 극작가 위바이메이는 AI가 문화 창작의 모든 영역을 빠르게 ‘덮고’ 있으며, 그 발전 속도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AI가 인간 창작 방식을 모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결국 인간 상상력의 한계까지 돌파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AI는 알고리즘을 통해 인간 작품 속 우리가조차 인식하지 못한 규칙들을 분석하고, 모사하고, 재구성할 수 있다.” 위바이메이는 “이 능력이 성숙하게 되면, 예술 분야에서 인간이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AI를 “아직 말을 배우지 못한 마법의 아이”에 비유하며, 그 잠재력이 엄청나다고 말했다. “오늘날 우리는 인간의 감정이 복잡하고 공식화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AI의 발전은 그 복잡성 이면에 수학적 규칙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가 아직 그것을 이해할 능력을 갖추지 못했을 뿐이다.”
또한 일부는 보다 중립적인 관점을 취하며, 사진, 영화,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했어도 전통 예술이 소멸하지 않았듯, AI 역시 인간 창의력의 가치를 지우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오히려 AI는 인간 창의력을 미지의 영역으로 이끄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는 입장이었다.
예술과 기술의 관계는 전례 없는 단계로 진입하고 있었다. AI의 역량이 계속 강화됨에 따라, 창작자들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었으며, 인간과 AI가 공존하는 시대 속에서 인간 창의력이 맡는 역할을 새롭게 정의해야 할 때가 도래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