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10년전의 '중국 제조 2025' 프로젝트, 그 세부 실천 내용을 보면 중국의 미래가 보인다

  • 등록 2025.02.27 10:07:40
크게보기

 

 

딥시크(DeepSeek)에 놀랐다고?

딥시크는 중국 인공지능(AI) 챗봇이다.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정확한 계산과 추론을 해내는 가성비 끝판왕 AI다.

하지만 중국을 아는 이들은 “놀랐다는 사실이 놀랍다”고 입을 모은다. 앞으로 정말 놀랄 일이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어떤 놀라운 일들이 남아 있을까? 궁금하다면 전문가들은 ‘중국 제조 2025’를 다시 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중국 제조 2025’는 지난 2015년 발표됐다. 당시 중국은 지속가능한 제조 강국을 위해 과제들을 설정했고, 지난 10년간 이 과제들을 달성해왔다.

인공지능을 포함한 첨단 기술 제품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 온 것이다.

글로벌 분석가들은 “딥시크의 성공은 중국 정부가 2015년 대대적으로 발표한 이 야심찬 프로젝트의 성공을 다시 한 번 입증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제조 2025’에는 2025년까지 중국이 주도해야 할 10대 핵심 기술 분야가 선정돼 있다.

인공지능, 양자 컴퓨팅, 전기 자동차, 재생 에너지, 배터리 기술 등이 10대 핵심 기술의 대표적인 것들이다.

중국은 2025년 현재 이미 이전 자동차 생산 중심지(독일, 일본, 미국)를 앞지르고 있다. BYD와 같은 인기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의 부상에 힘입어 다른 어떤 국가보다 많은 자동차를 판매하고 있다.

중국 전기 자동차 성공은 현재 세계 최대를 자랑하는 배터리 제조업이 기반이 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부문에서 중국은 전 세계 태양광 패널 공급망의 80~95%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이 이미 재생에너지 강국이다. 오는 2028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의 60%가 중국에서 생산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배터리 등의 기술은 전기자동차 뿐 아니라 중국을 드론 분야도 글로벌 석권을 하도록 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보고서 및 산업 분석 기관인 BCC 리서치에 따르면, 선전에 본사를 둔 DJI 이노베이션은 세계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세계 10대 드론 제조업체 중 3곳이 중국 기업이다.

 

킹스 칼리지 런던의 개발 경제학자인 공윈단 박사는 "'중국 제조 2025'는 전반적으로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 자리를 따라잡고 있으며, 일부 분야에서는 오히려 앞서 나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하지만 이 같은 ‘성공’이 쉬웠던 것은 아니다. 목표달성을 위해 중국 공산당은 10년전에 250개 이상의 세부 목표 설정해 상세한 로드맵에 제시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 이 목표의 86%가 달성되었다.

 

서방 전문가들은 국가 차원에서 연구 개발 계획을 세우고 국가의 모든 자원을 동원해 지원하는 중국의 사회주의 계획경제 시스템의 장점이 작용한 덕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독일 마셜 펀드(German Marshall Fund)의 전무이사이자 조 바이든 대통령의 전 고문인 린지 고먼(Lindsay Gorman)은 최근 BBC중문서비스와 인터뷰에서 "중국은 정부가 연구 및 자금 조달 계획을 실제로 수립하는 국가 지원 자본주의 모델을 성공적으로 도입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이 해외 인재를 유치하고 외국 기업과 중국 기업 간의 합작 투자를 장려하는 능력을 언급했다.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성장 계획 달성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다. 미국 의회 연구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해외 기업 인수 또는 연구 개발에 1조 5천억 달러를 조달하거나 지출할 계획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까지 6,270억 달러 이상이 지출되었다.

 

‘중국 제조 2025’의 빠른 성공에 다른 나라들이 가만히 있었던 것은 아니다. 경쟁국들이 반발을 하기 시작했다. 미국이 강력한 견제에 나서기 시작한 것도 최근 2,3년 전의 일이다. 중국의 반응이 재미있다. 중국은 일단 ‘중국 제조 2025’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것으로 경쟁국을 자극하는 것을 멈췄다.

하지만 중국은 속으로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이미 ‘중국 제조 2025’는 성공 단계였던 것이다. 많은 나라들이 뒤늦게 후회를 해도 이미 늦은 일이었다.

다만 중국에 대한 견제는 더욱 강해졌다.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서방 국가들이 중국으로의 기술 수출에 대해 점점 더 엄격한 제재를 가하고 있다.

 

서방국가, 특히 미국의 견제는 마이크로칩 혁신과 같은 일부 분야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일부 분석가들은 다른 분야에서는 이러한 제한이 중국의 발전을 촉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결국 자급자족 증진이 ‘중국 제조 2025’의 핵심 동력이기 때문이다. 반도체 등에 대한 견제는 중국이 반도체 등의 자급자족을 대놓고 추진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제한과 제재는 대세의 흐름을 바꾸지는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딥시크다. 미국의 수출 통제로 인해 DeepSeek은 모델 학습에 필요한 가장 강력한 칩을 확보하지 못했다. 딥시크는 어쩔 수 없이 기존 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대신 더 적은 비용과 장비로 운영되도록 만들어질 수밖에 없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여러 이견이 있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딥시크가 미국 전역에 충격을 안겨주었다는 점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미국 AI 대기업들에게 보내는 ‘경종’이라고 중

장성배 dayoff88@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