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솔로몬제도 안보협정 체결에 미국 즉각 대응

  • 등록 2022.04.20 18:13:15
크게보기

 

호주, 뉴질랜드 인근의 남태평양 국가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로 사실상 미국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이 솔로몬제도와 안보협정을 체결하는 등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미국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미중 갈등이 경제에서 안보 분야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는 19일(현지시간) 대변인 성명을 통해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등 4개국은 중국과 솔로몬제도의 협정 체결에 따른 안보 체계 변화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지역에 심각한 위험이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그동안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대중 포위망을 구축해 견제 수위를 높여왔지만 이번 협정 체결이 완료될 경우 안보상 위험이 된다고 판단해 대응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중국-솔로몬제도 안보협정 서명 발표 후 곧바로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이 이끄는 고위급 대표단의 남태평양 파견을 결정한 바 있다.

미국의 즉각적인 대응에 대해 중국은 이해 못할 반응이라는 입장이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협정은 어떠한 제3자도 겨냥하지 않는다"며 "태평양 도서국들은 미국 또는 미국을 포함한 동맹국 그룹하고만 안보 협력을 할 수 있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솔로몬제도 안보 협정문에는 현지 중국인 보호 등 중국의 필요에 따라 함정과 병력을 솔로몬제도에 파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머내시 소가바레 솔로몬제도 총리는 미국, 호주, 뉴질랜드 등 주변국들의 우려에 불쾌감을 표시하며 중국과의 협정 체결은 국익을 위한 결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장성배 dayoff91@kochina21.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