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로 살펴보는 중국의 황사

2019.03.12 13:22:43


 

봄만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 황사. 봄을 만끽하려는 상춘객과 시민들에게 골머리를 안겨주는 존재입니다.

한국과 중국 양 국 모두 봄만 되면 황사로 건강상, 경제상 막대한 손실을 입는데요,

어제 살펴본 베이징의 황사 현상에 이어 오늘은 중국 대륙 전체의 황사 현상의 변화 양상을 그래프와 분포도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분포도는 각 지역 별로 1961 ~ 2015년 중 연 황사 발생 일수가 가장 높았던 해의 황사 발생 일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해당 분포도를 살펴보면 중국의 황사 분포를 살펴보면 매우 분명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첫째는 북방이 남방에 비하여 황사 현상이 더욱 자주 나타난다는 점이며, 둘째는 평지가 산지에 비해 더욱 황사현상이 자주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크게 보면 서북 지역, 내몽고 지역, 화북 지역이 황사가 자주 나타남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장, 티베트, 내몽고의 경우는 지역별로 다르나1년 중 45일 이상 황사가 발생한 지역이 있을 정도로 황사가 빈번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네요.

 

 

 

위의 그래프는 1981년~ 2010년을 기준으로 북방지역의 1년 중 월별 황사 발생 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도표를 살펴보면 황사 현상은 봄철에 1년 중 57.7%가 발생할 정도로 집중되어 있으며 가을에 가장 적게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4월은 1년 중 24.2%의 황사가 발생할 정도로 황사가 가장 자주 나타나는 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연평균 황사 발생 일수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동색의 선 그래프는 신장 지역의, 황색의 선 그래프는 베이징의, 막대그래프는 북방 지역의 연평균 황사 발생 일수를 나타냅니다.

그래프를 통해 살펴보면 중국의 연평균 황사 발생 일수의 변화는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요, 10년 당 0.9일 정도의 폭으로 황사 발생이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각 기간 당 중국 전국에서 발생한 짙은 황사의 발생 횟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해당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0년대에는 48회의 짙은 황사가 발생했으나 2000년대에는 29회 발생하여 매우 큰 폭으로 짙은 농도의 황사 발생 역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황사 현상이 줄어드는 원인으로는 중국 내의 기상 조건 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위의 두 그래프는 중국 황사 발원지의 기상 조건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첫 번째 그래프는 1년 중 서북 지역의 강한 바람이 일어나는 일수의 변화를 보여주며, 두 번째 그래프는 봄에 신장, 내몽고의 연평균 강수량 증가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강풍의 발생 횟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강수량이 증가하는 추세임을 살펴볼 수 있는데, 강우량의 증가를 통해 토양이 식물의 생장에 적합해져 황사가 더욱 억제되는 선순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황사 현상은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한국과 중국 양 국 모두에 심각하게 영향을 문제인만큼, 양국이 모두 함께 적극적으로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하며, 또한 그 모색이 점차 이뤄지고 있습니다. 황사 현상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이러한 노력들이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요,

 

양국의 더욱 긴밀한 협력을 통해 황사로 인한 피해가 더욱 줄어들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박윤현 afeconomy@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