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국 경제의 활황 상승을 예고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서비스업조사센터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 조사 내용을 공개했다.
공개 자료에 따르면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비제조업 업무활동지수, 종합 PMI 생산지수는 각각 49.7%, 50.5%, 50.7%를 기록해 전월보다 각각 0.2, 0.2, 0.3%포인트 상승했다. 세 지수 모두 반등세를 보이며 우리나라의 경기 수준이 전반적으로 확장 국면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통계국 서비스업조사센터의 고급통계사 자오칭허는 “중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승 국면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PMI의 지속적인 반등에 의미를 부여했다. 실제 중국의 6월 제조업 PMI는 49.7%로 상승했고, 조사 대상 21개 업종 중 11개가 확장 구간에 들어섰다. 전월 대비 4개 업종이 추가된 수치다.
생산지수와 신규주문지수 역시 각각 51.0%, 50.2%로 전월 대비 0.3%포인트와 0.4%포인트 상승했다.
해 제조업 생산활동이 가속되고 시장 수요도 개선되었다. 업종별로 보면, 식품 및 주류·정제차, 전용설비 등 업종의 생산 및 신규주문 지수는 2개월 연속 확장 구간에 머물며 관련 산업의 생산과 수요가 빠르게 증가했다.
반면 비금속광물제품, 흑색금속 제련 및 압연가공 업종은 두 지수 모두 기준선을 밑돌아 시장 활력은 여전히 부족했다. 생산과 수요 회복에 힘입어 기업들의 구매 의욕도 강해졌고, 구매량지수는 50.2%로 전월 대비 2.6%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원자재 구매가격지수와 출고가격지수는 각각 48.4%, 46.2%로, 모두 전월 대비 1.5%포인트 상승해 제조업 시장 가격 수준이 다소 개선되었다. 업종별로는 최근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의 원자재 구매 및 출고가격지수가 뚜렷이 반등했다. 반면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 하락과 최종 수요 부족으로 흑색금속 제련 및 압연가공업의 두 가격지수는 동반 하락해 관련 업종의 시장 가격 흐름은 다소 약세를 보였다.
대형기업 PMI는 51.2%로 전월 대비 0.5%포인트 상승하며 확장 구간을 유지했고, 제조업 전체에 뚜렷한 지지 역할을 했다. 중형기업 PMI는 48.6%로 1.1%포인트 상승하며 경기 수준이 개선되었다. 반면 소형기업 PMI는 47.3%로 전월보다 2.0%포인트 하락했다.
설비제조업, 첨단기술 제조업, 소비재 업종의 PMI는 각각 51.4%, 50.9%, 50.4%로 2개월 연속 확장 구간에 머물렀다. 이 중 설비제조업의 생산 및 신규주문 지수는 모두 53.0%를 넘어 관련 업종의 생산과 수요가 모두 활발했다. 고에너지 소비 업종의 PMI는 47.8%로 전월 대비 0.8%포인트 상승하며 경기 수준이 다소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