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 항구들이 살아남는 법...공급망을 새로 구축하라!

  • 등록 2025.04.17 09:29:19
크게보기

새 공급망 확보하며 물동량 늘려.

 

중국 동베이 지역 항구들이 일제히 새로운 물류망을 확보하고 나서 주목된다. 물류망을 확보하면서 주로 다루는 화물의 종류도 바뀌고 있다.

중국의 이 같은 변화는 최근 미국발 무역전에 새롭게 발발한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물류망 변화는 인근한 한국 입장에서는 새로운 변화로서 기회이자 위기다. 한국 당국의 관심이 높아질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최근 12일간의 항해를 마친 “타이저싱 319”호가 1만 4600톤의 라오스산 입상 칼륨 비료를 가득 실은 채 잉커우항 바위권 항구 61번 선석에 첫 입항했다. 이로써 “라오스–베트남–중국”을 잇는 입상 칼륨 비료 수송의 새로운 루트가 공식적으로 개통된 것이다. 이는 물류망은 향후 중국 동북지역의 봄철 영농 비료 수요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하게 됐다는 점에서 중국 당국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북한에 대한 새로운 비료 공급도 가능해졌다는 의미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들어 랴오닝항만그룹은 산하 각 항만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정비고 있다. “쌍자성 탄중 항로”, “쌍자성 부산 항로”, “지중해 해운 동지중해 항로”, “지중해 해운 유럽 항로” 등 다수의 외항 무역 노선을 잇따라 개통했다.

그 결과 1분기 그룹 전체의 화물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으며, 컨테이너 물동량도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여 주요 지표에서 모두 성장을 이뤄냈다.

신규 물동량 확대와 기존 자원의 최적화를 동시에 추진했다. 1분기 랴오닝 각 항만은 지역 특성에 맞춰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했다.

잉커우항은 우수한 서비스로 물동량을 끌어올려 수슬래그 작업량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했다. 다롄항은 유연한 영업 전략 조정으로 광물·건축 자재 신규 고객을 확보해 해당 작업량이 전년 대비 67% 증가했다. 수이중항은 “빈저우항–판진항–수이중항” 항로를 개통해 화물 물동량이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다롄항 유류 전용 부두는 원유 해상 중계 허브 항만 서비스 브랜드를 구축하여 유류 물동량이 전년 대비 13% 이상 증가했다. 잉커우항 선인도 부두는 과학적인 계획을 통해 주요 선박의 접안을 원활히 보장했으며, 초대형 유조선(VLCC) 4척이 동시에 작업을 완료하여 원유 물동량이 전년 대비 40% 가까이 증가했다.

또 잉커우항은 직출 작업 확대와 자체 벌크 곡물 차량의 적극적 활용 등을 통해 1분기 곡물 해상 수송량이 전년 대비 약 8% 증가했다. 다롄항의 벌크 곡물 부두는 개방형 컨테이너 운송을 확대하고 작업 절차를 간소화하여 국내 무역용 옥수수 물량이 50만 톤 이상 증가했다. 단둥항 벌크 곡물 부두는 고객 수요에 따라 창고 용량을 조정하고 곡물 회전율을 높여 곡물 화물 물동량이 전년 대비 200% 이상 증가했다.

유혜정 lucirhj@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