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첫 업무일에 10만 톤급 친환경 메탄올 프로젝트가 착공되었으며, 연말 완공 후 상하이산 친환경 메탄올 "제로"의 돌파를 이뤄냈다.”
상하이가 빠르게 녹색환경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글로벌 연결망도 강화하고 있다. 상하이 홍차오 국제중앙비즈니스지구의 해외 투자 프로젝트 허가 상담 서비스 지점이 가동됐다.
중국 네티즌들은 상하이 발전에 환호하고 나섰다.
중국 매체들은 신년 벽두 상하이의 새로운 발전 모델에 대해서 일제히 알리고 나섰다. 상하이는 기업 재편과 산업 비용 절감을 적극 추진했으며, 2024년 상하이 지방 국유기업의 모회사 귀속 순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상하이는 일련의 정책을 통해 "인민의 도시" 건설을 가속화하고 민생을 개선하며 유리한 요소를 지속적으로 축적했다.
2025년 도시 업무 계획에 대해 상하이는 "한 단계 도약하는 목표로 기대를 유도하고 힘을 결집하며, 개혁과 혁신의 방법으로 도전에 대응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강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대국을 위해 기여한다"고 요구했다.
새해 상하이항은 세계 최초로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5,000만 TEU를 초과했다.
상하이는 지난 2024년 집적회로, 바이오의약, 인공지능의 3대 선도 산업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 규모만 1조 8,000억 위안(약 355조 320억 원)에 달한다.
상하이는 2025년 ‘인공지능+’ 추진 대회를 열고, AI를 연계한 산업 발전도 추진키로 했다.
상하이는 연말까지 약 50개의 효과적인 산업 개방 데이터셋 시범 응용 결과를 만들고, 3~5개의 대형 모델 혁신 가속 인큐베이터를 건설키로 했다.
상하이는 이미 금융과 IT 분야에서 중국 최대의 도시다. 베이징, 선전과 함께 중국의 발전을 주도하는 3대 엔진이다.
중국에서 금융허브 도시로 유명하다.
그런 상하이가 이제는 AI허브 도시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밝힌 것이다. 중국은 AI분야에서 이미 미국에 버금가는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 건수에서도 미국에 이어 부동의 세계 2위다.
현재 미국의 강한 견제를 받고 있지만, 상하이를 중심으로 중국 AI 산업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