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도시별 과학 기술 혁신 역량 순위 1위는 베이징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장점은 당 중앙의 강한 지도력이다. 한국에서는 리더십이라고 하는 데 중국은 영도라는 표현을 쓴다.
한국에도 영도라는 단어가 있는데, 좀 군사적 색채가 짙다.
한중간의 적지 않은 감정적 문제는 사실 이처럼 서로가 쓰는 단어가 실제 늬앙스를 달리한다는 점에서 나온다.
한국에서 북한과 차별을 두면서 북한이 쓰는 단어를 의도적이든 의도하지 않았든 달리 쓰면서 생긴 현상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어쨌든 중국의 장점은 중앙 정부의 강한 리더십이다. 중국은 그 리더십으로 발전의 방향을 제시하고 각 행정조직, 즉 지방정부가 따라오는지를 평가하면 된다.
중국에서 출세를 하고 싶으면 이 중앙 정부가 제시한 기준과 목표 달성에 좋은 성과를 내면 되는 것이다.
장점은 중앙이 제시한 목표를 빠르게 달성하는 것이지만, 단점은 지나친 관료주의, 행정편의적 평가에 각종 부조리가 감춰진채 드러난 성과만 중시하게 된다는 점이다.
중국 공산당의 제 20기 3차 전체회의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발전을 위한 제도와 메커니즘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해당 목표에 맞는 지방 정부의 조치들을 평가하면 된다.
지에몐(Jiemian) 연구소는 최근 '중국 지역 과학 기술 혁신 역량 평가 지수 보고서(2023)'를 냈다. 이 보고서에서는 31개 성급 행정 구역의 과학 기술 혁신 역량을 평가했다.
보고서 평가는 혁신 환경의 4가지 1급 지표를 포함하여 도시 과학 기술 혁신 역량에 대한 평가 지표 시스템으로 이뤄졌다. 여기에 R&D 역량을 추가로 평가했다.
그럼 최근 지에몐 연구소의 '중국 지역별 과학 기술 혁신 역량 평가 지수 보고서(2023년)'에 따른 1위 도시는 어디일까?
역시 베이징이 꼽혔다. 2위는 상하이, 3위가 톈진이었다. 베이징과 톈진은 경제적으로 한 권역에 묶이는 도시들이다.
연구소는 "이번 보고서의 평가 체계에는 혁신 환경, 연구 개발 역량, 기업의 역동성 및 혁신 효과 네 가지가 포함되었고 27가지 세부 항목으로 각 도시별 과학 기술 혁신 역량을 평가했다"고 밝혔다.
주목되는 것은 남방의 도시들이 좀 홀대를 받았다는 점이다. 선전은 중국에서 IT와 바이오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내는 도시인데 10위 권에 들지 못했다.
도시별 과학 기술 혁신 역량 순위
1위 베이징
2위 상하이
3위 톈진
4위 충칭
5위 청두
6위 푸저우
7위 광저우
8위 하얼빈
9위 항저우
10위 허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