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호 루쉰과 출판사의 줄다리기 … 문장부호도 글자다.

2023.11.08 17:37:49

 

중국의 대문호 루쉰은 철저한 사실주의 글쓰기로 유명하다.
도박하는 장면을 쓰기 위해 먼저 도박을 연구해 공부했다. 현실의 모습을 작품의 품격으로 담아냈다.

 

나의 글쓰기는 진실을 담아내는 것, 
그것에서 출발하고 그것에서 그친다.

루쉰의 고백이다. 

 

그의 글은 수많은 중국인의 가슴을 울렸다.
수억 명의 중국 청년들이 그의 글을 읽고 사회를 바꾸자는 혁명에 가담했다.
루쉰의 글은 일부 청년에겐 삶의 지표였고,
혁명 참여를 독려하는 대자보였으며,
삶을 규정하는 성스러운 경전이었다.

그런데
이런 루쉰도 피하지 못한 게 있다.
출판사와 원고료 다툼이다.
사실 어찌 보면, 
원고료를 대척점으로 출판사와 작가는 
오래전부터
고양이와 개의 관계처럼 본래 타고난 앙숙이었는지 모른다.
출판사는 어쨌든 원고료를 깎으려 했고,
작가는 어떻게든 원고료 한 푼이라도 더 받아야 했다.

1930년대 루쉰이 자주 거래하던 출판사 역시 마찬가지였다.
출판사는 원고지의 글자를 일일이 다 세어,
원고비를 지급했다.
그 출판사는 그러면서 글자에 마침표 쉼표 등의 문장 부호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당대 인기 작가 루쉰의 글 역시 마찬가지였다. 

 

출판사의 이런 태도에 루쉰이 화가 났다.
그렇다고 점잖은 체면에 싸울수도 없는 일이었다.
그래서 꾀를 냈다.
과연 루쉰은 어떻게 했을까?

아예 처음부터 끝까지 문장 부호 없이 글을 마치지 않고, 이어서 썼다.
한자를 아는 이들은 여기서 무릎을 치게 된다.
중국어는 본래 한 문장에서 띄어쓰기가 없다.
그래서 어떻게 뛰어 읽느냐에 따라 문장 뜻이 달라진다.
단문이 그런데, 복문은 오죽하랴. 
구분하기가 더 어렵다. 뜻을 알 수가 없다.

그런 중국 문장을 처음부터 끝까지 마침표 없이 이어 썼으니, 
출판사가 도대체 알아볼 길이 없었다.
루쉰의 원고를 받아 든 출판사는 황당했다. 
루쉰에게 편지를 썼다.
글을 알아볼 수 없으니 문장 부호를 넣어달라고 했다.
루쉰이 간단히 답했다. 

 

그럼 문장부호도 글자를 셀 때 포함시켜라.

 

결국 출판사가 항복을 했다.
루쉰의 말처럼 부호도 글임을 인정한 것이다.
어디 부호뿐이랴, 
진정한 글은 빈 곳 덕에 그 의미가 사는 것이다. 

 

장성배 dayoff91@kochina21.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