萧萧远树疏林外,一半秋山带夕阳。
xiāo xiāo yuǎn shù shū lín wài ,yī bàn qiū shān dài xī yáng 。
쓸쓸한 숲 저 멀리
가을 산 반쪽이
석양에 물든다
붉게 물든 가을 산은
기울여 봐야
아름다움을 안다.
석양의 노을은
빗겨 봐야
눈이 더욱 부시다.
가을 산 반쪽이 석양에 물든다.
가을의 아름다움을
이처럼 짧게 한마디로
말할 이 누가 있을까.
본래 떨어지기 직전의
낙엽이
가장 아름다운 법이다.
송 시인 구준의 시
'강 정자 벽에 쓰다'이다.
어찌 석양이
정확히 산을 반으로 나눠
비췄을까?
하지만
시는 정확히 반을 나눠
정확히
우리를
일 년의 특정 시간,
특정의 장소로
하루의 특정 시간으로
특정 장소로
데려간다.
한시의 묘미다.
만약 영어
표음문자로 썼다면
이 특정의 시간,
특정의 장소로
독자를 데려가려
시가 아니라
산문을 써야 했을 것이다.
그 긴 시상詩相을
짧은 절구에 담았다.
한 구절로 우리는
가을,
그것도
석양이 물들기 시작한 뒤
산을 딱 절반만
물들이는
석양의 절정의 순간으로
데려간다.
석양이 가장 아름다운
순간이다.
가을이 가장 절정인
순간이다.
이 순간이 지나면
이제 석양의 끝이
검게 변하기 시작한다.
저녁이 된다.
이 순간에 이르지 못하면
푸른 하늘
한 귀퉁이만 붉게
석양이
그 머리만
드러낼 뿐이다.
가을 산을 반만 물들인
석양이
가장 아름답다.
떨어지기 전의
낙엽이
가장 아름답듯
시는 산의 위치도
정확히
알려준다.
저 쓸쓸한 나무숲
뒤 편에 있다.
그 숲의 앞엔
큰 강이 흐른다.
시인은
배를 타고
선상의 난간에
기대어
가을 산 반쪽을 물들인
석양을 봤다.
이 시의 앞부분이다.
岸阔樯稀波渺茫,独凭危槛思何长。
àn kuò qiáng xī bō miǎo máng ,dú píng wēi kǎn sī hé zhǎng 。
계곡 사이 저 멀리 도도한 강
선상에 홀로 사념에 빠지네
황혜선 기자 hss@kochina21.com